폭력에 시달리는 운동부 학생 적극 보호를
2020년 12월 18일(금) 04:00
교육부가 지난 7~8월 전국 학생 선수 5만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폭력 피해 전수조사 결과, 운동과 학업을 겸하는 전국의 학생 선수들 중 상당수가 언어·신체 폭력 등 심각한 인권 침해를 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주·전남 지역에서는 총 16개 학교에서 38명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드러났다. 가해자는 모두 36명으로 확인됐는데 대부분 학생이었으며 그중 체육 지도자도 4명이나 있었다.

하지만 이번 조사가 공개적인 설문조사로 진행된 점을 감안하면 보복이 두려워 침묵하는 피해자들이 더 많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실제로 지난달 열린 시 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시의회 정무창 의원은 “고(故) 최숙현 선수 사건으로 체육계의 고질적 폭력 문제가 논란이 됐을 때도 일부 광주 지역 학교 운동부에서 폭행·인권 침해가 끊이지 않았다”며 시 교육청 차원의 철저한 감사를 촉구한 바 있다.

당시 시 교육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현재까지 광주에서만 총 14건의 학교 운동부 관련 민원이 접수됐다. 전남의 한 중학교에서는 운동부 코치가 지도하는 학생을 상습 폭행했는가 하면 한 학생은 훈련 과정에서 다쳐 수술을 받기도 했다.

문제는 학생 선수들의 인권 침해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당국은 매번 폭력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가해 학생과 지도자들을 징계했지만 대부분 솜방망이 처벌로 그쳤다. 학교 측의 허술한 대처 속에 학교 운동부 지도자의 비위 행위가 여전한 것은 이 때문이다.

학생 선수는 선수 이전에 학생이라는 점에서 사회는 이들의 권리를 지켜 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 교육 당국은 전수조사 정례화와 수시 관리, 피해 상시 감시 시스템을 통해 학생 선수들의 인권을 보장해야 한다. 이젠 폭력을 동반한 후진적인 훈육 방식은 끝내야 한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