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 간 경계조정 이번엔 결론 내려야
2020년 10월 07일(수) 00:00
이용섭 광주시장이 광주 5개 자치구 간 경계조정 논의를 다시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시·전남도의 광역 행정 통합에 이어 광주 지역 기초자치단체 간 행정구역 재편 카드를 꺼내 든 것이다. 다소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이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시장은 그제 “최근 시의원들과 5개 구청장 및 지역구 국회의원들과 차례로 만났으며 구간 경계조정의 필요성에는 모두가 의견을 함께했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구간 경계조정 준비기획단’을 재가동, 개편 대안을 마련해 정치권과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시는 지난 2018년 시민 설문과 연구 용역을 통해 경계조정을 추진했지만 대상지 주민과 일부 지방의원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당시 용역에서는 세 가지 안이 제시됐다. 소폭 조정안은 두암 1·2·3동과 문화동·풍향동·석곡동 등 북구 6개 동을 동구로, 중폭 조정안은 이에 더해 첨단1·2동 등 광산구 2개 동을 북구로 편입하는 것이다. 대폭 조정안은 북구 가·다 선거구 등 12개 동을 동구로, 광산구 첨단 1·2동을 북구로, 광산구 나 선거구 5개 동을 서구로, 서구 풍암지구를 남구로 편입하는 것이 골자였다.

자치구 간 경계조정 필요성은 동구에 있던 광주시청이 상무지구로, 전남도청이 무안 남악 신도시로 이전한 지난 2005년 이후 구도심 공동화가 심화되면서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로 인한 인구 감소로 동구는 남구와 합쳐 2개 국회의원 선거구를 겨우 유지하고 있으며 자치구 간 인구 편차도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현재 자치구와 지역 정치권에서는 기존 대안 가운데 소·중폭 조정안을 선호하는 듯하다. 물론 자치구마다 입장이 다르겠지만 경계조정은 주민 편익과 행정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도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다. 정치권과 광주시는 이번에야말로 정치적 이해를 떠나 시민의 입장에서 광주의 미래를 위한 최적의 대안을 반드시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