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추석’ 그래도 귀성 불가피하다면
2020년 09월 28일(월) 00:00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맞이하는 올 추석 연휴는 사상 초유의 ‘비대면 명절’이 될 전망이다. 정부가 방역을 위해 귀성 등의 이동 자제를 권고했고 국민들도 고향 방문을 피하는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 4개 여론조사 전문업체가 지난 17~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7명을 대상으로 귀성 자제 등 정부의 비대면 추석 권고에 대한 참여 의사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86%가 ‘참여하겠다’고 응답했다. 코로나 확산이 ‘민족 대이동’으로 상징되는 한가위 풍속까지 바꾸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정부는 오늘부터 다음 달 11일까지 ‘추석 특별방역대책’을 추진, 방역의 고삐를 바짝 죄기로 했다. 여기에는 닷새간 이어지는 이번 연휴가 코로나 재확산과 진정을 가르는 갈림길이 될 것이라는 절박함이 담겨 있다.

특별 대책에 따라 실내 50인, 실외 100인 이상 모이는 각종 모임은 금지되며, 추석맞이 마을 잔치와 민속놀이 대회도 이 인원을 넘으면 진행할 수 없다.

하지만 이동 자제 권고에 공감하면서도 고향을 방문하는 지역민들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감염을 우려해 접촉을 피해 왔지만 추석만큼은 부모 형제와 함께 보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한 탓이다.

이를 반영하듯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안전한 귀성 방법을 묻는 글들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방역 전문가들은 불가피하게 고향을 방문하기로 결정했다면 귀성·귀경길에는 차량 안에서 식사와 휴식 등 모든 것을 해결하고, 휴게소에 들를 경우에는 화장실만 이용하라고 권고한다. 친지를 만날 때도 포옹이나 악수보다는 목례나 주먹 인사로 대체하고 식사도 직계 가족만 단출하게 하는 것이 좋겠다.

결국 항상 마스크를 끼고 접촉을 최소화하는 등 방역 수칙을 엄격하게 지키는 것이 자신과 가족 나아가 공동체를 보호하는 길임을 잊지 않아야겠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