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숙원 전남권 의대 설립 포기할 수 없다
2020년 09월 07일(월) 00:00 가가
의료계 파업의 유탄이 결국 전남권에 떨어지게 됐다. 정부 여당과 의료계가 최근 의대 정원 확대 문제 등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함에 따라 30년 숙원인 전남권 의대 설립에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전남 지역민들은 장기간의 코로나 사태로 의료계 요구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던 정부 입장을 이해하면서도 의료계의 집단이기주의에 대해서는 못내 서운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수요에 비해 공급이 크게 부족한 전남의 의료 현실을 개선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마저 사라지게 해서는 안 된다는 데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 코로나 사태로 인해 드러난 전문 의료 인력 부족, 수도권·비수도권 간 및 지역 간 심각한 의료 격차 등을 감안한 의료 혁신에 대한 논의는 계속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영록 전남 지사도 곧바로 낸 호소문을 통해 “지난 7월 정부여당은 의과대학이 없는 지역에 의대 신설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사실 우리가 누차 지적해 왔지만 전남 지역은 전국 17개 시·도에서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곳이다.
이 때문에 전남은 전국에서 의료 환경이 가장 뒤처진 지역이 됐다. 이는 각종 지표로 증명되는데 우선 의사 수 부족이 가장 큰 문제다. 전남은 1만 명당 의사 수가 25.3명으로 전국 평균보다 4.4명이 적다.
이에 전문가들은 전남을 비롯한 비수도권 지역의 열악한 의료 환경을 감안, 의사 정원을 크게 늘려야 한다는 지적을 꾸준히 내놓고 있다. 높은 노인 인구 및 장애인 비율도 지역 의대 신설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전남 65세 인구는 23%로 전국 평균인 15.9%를 훨씬 웃돌고 장애인 인구 비율도 7.5%로 전국 평균 5%보다 높다.
따라서 전남권 의대 및 대학병원 설립은 반드시 추진되어야 한다. 특히 앞으로 있을 정부·여당과 의협의 재논의 과정에 ‘전남권 의대 설립’이 포함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시민단체 그리고 정치권이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특히 코로나 사태로 인해 드러난 전문 의료 인력 부족, 수도권·비수도권 간 및 지역 간 심각한 의료 격차 등을 감안한 의료 혁신에 대한 논의는 계속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영록 전남 지사도 곧바로 낸 호소문을 통해 “지난 7월 정부여당은 의과대학이 없는 지역에 의대 신설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이에 전문가들은 전남을 비롯한 비수도권 지역의 열악한 의료 환경을 감안, 의사 정원을 크게 늘려야 한다는 지적을 꾸준히 내놓고 있다. 높은 노인 인구 및 장애인 비율도 지역 의대 신설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전남 65세 인구는 23%로 전국 평균인 15.9%를 훨씬 웃돌고 장애인 인구 비율도 7.5%로 전국 평균 5%보다 높다.
따라서 전남권 의대 및 대학병원 설립은 반드시 추진되어야 한다. 특히 앞으로 있을 정부·여당과 의협의 재논의 과정에 ‘전남권 의대 설립’이 포함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시민단체 그리고 정치권이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