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서부권 협력해 의대 유치 성사시켜야
2020년 07월 17일(금) 00:00
‘30년 숙원’인 전남 지역 의대 유치에 청신호가 켜졌다. 정부·여당이 15년간 동결해 온 의대 정원을 확대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는 광역 자치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의대가 없는 전남권에 의대를 유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는 의미와 다르지 않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총선에서도 공공의료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의대 정원을 확대하겠다는 공약을 내놓은 바 있다. 이의 연장선상에서 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는 취약한 공공의료와 지역 의료기반 강화를 명분으로 의대 정원 확대 방침을 최근 밝혔다.

의대 정원 확대 배경으로는 광주와 대전에서 재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로 지역 공공의료기반의 취약성이 드러난 것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정원 확대 규모와 추진 방향은 앞으로 당정 협의를 통해 구체화될 전망이다.

전남 지역 의대 신설의 필요성은 그동안 각종 지표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 인구 비율이 21.9%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데다, 전남 22개 시·군 가운데 19개 시군이 보건복지부가 고시한 응급의료 취약지에 해당한다. 의료 수요는 많은데도 1만 명당 의사 수는 24.7명으로 전국 평균(28.9명)보다 4명 이상 부족하다. 이로 인해 매년 78만 명이 더 나은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 타 시도 대학병원을 찾는다. 의료비 역외 유출액도 1조3000억 원이나 된다.

전남 지역 의대 유치 운동은 지난 1990년부터 시작됐으니 벌써 30년이 됐다. 다만 아쉬운 것은 그동안 목포를 중심으로 한 서남권과 순천을 중심으로 한 동부권으로 갈려 치열한 유치전을 벌이면서 갈등을 빚기도 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 방침을 밝히면서 의대 신설 가능성이 커진 만큼 이제 동부·서부 할 것 없이 뜻을 한데 모아 치밀하게 유치 전략을 짜야 한다. 아무리 유치 명분이 좋더라도 지역 내 의견 수렴이 안 되고 갈등을 빚는다면 의대 유치는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모두 명심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