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슨해진 학교 방역 체계 이러다 큰일 난다
2020년 06월 16일(화) 00:00
광주 지역 중고생 두 명의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놓고 최근 방역 당국이 수차례 오락가락하면서 큰 혼란을 빚었으나 결국 음성이라는 최종 판정이 내려졌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해당 학교들이 의심 증상이 있는 학생들을 선별진료소가 아닌 자택으로 귀가시킨 것으로 드러나 초기 대처가 적절치 못했다는 지적이다.

광주시는 그제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진단검사의학회가 광주 코로나19 감염 의심 학생 두 명의 검사 과정을 검토한 결과 ‘가짜 양성’으로 최종 판단했다”고 밝혔다. 첫 검사에서 음성 판정이 내려져 할 것이 양성으로 잘못 나왔다는 얘기다. 앞서 광주에서는 중학생 A군과 여고생 B양 등이 1차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으나 이후 시행된 네 차례 재검사에서는 음성 판정을 받아 혼선이 가중됐다.

이로써 판정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의심 환자로 분류·검진되는 과정에서 해당 학교들이 교육부의 지침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당국은 지난달 20일부터 단계별 개학이 진행되자 미약한 증상만 있어도 학생들을 선별진료소로 보내도록 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두 명 모두 의심 증상이 있음에도 단지 귀가 조치만 했다.

A군은 지난 8일 발열과 기침, 인후통 증상으로 학교 보건실을 찾았다가 조퇴해 귀가한 뒤 사흘이 지난 11일에야 서광병원 선별진료소에 들러 진료를 받았다. B양도 지난 10일 미열과 두통이 있어 조퇴 후 집으로 돌아갔다가 다음날 새벽에야 선별진료소를 찾았다.

이들 사례는 학교 측이 학생들의 상태를 적극 확인하고 학부모에게 진료를 독려했다면 보다 빨리 대처함으로써 혼선도 줄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학교는 학생들이 밀폐된 공간에서 밀집해 생활하는 특성상 감염 위험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교육 당국은 학교 현장에서 증상 점검과 진료 의뢰 등 지침을 철저하게 지키도록 하는 등 느슨해진 방역 체계를 다시 다잡아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