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광주항쟁 40년은 한국 민주화운동 역사다
2020년 05월 18일(월) 00:00 가가
[사진으로 본 오월의 역사]


2017년 취임 후 처음 국립5·18민주묘지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아버지를 잃은 유가족 김소형 씨의 추모사를 들은 뒤, 김 씨를 안아주며 위로하고 있다.
5 18특위 증인선서
칼질 당한 신문
20주년 신문에 실린 희생자 339명
법정에 선 전두환 노태우
아버지 잃은 슬픈 눈망울
민주 택시기사 시위
도청앞 즐비한 관 시신 확인
사진=광주일보 자료사진
![]() ![]() |
1989년 열린 5·18광주특위에서 조비오신부(왼쪽)와 송기숙 교수가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 |
칼질 당한 신문
![]() ![]() |
1980년 당시 계엄군에 의해 검열을 당한 광주일보(옛 전남일보·전남매일 신문) 6월2일자 1면. |
20주년 신문에 실린 희생자 339명
![]() ![]() |
2000년 5 18민주화운동 20주년을 맞아 광주일보가 11면부터 15면까지 5개면에 걸쳐 게재한 339명의 희생자 영정. |
법정에 선 전두환 노태우
![]() ![]() |
1996년 8월 26일 열린 12·12 및 5·18 선고공판에서 전두환과 노태우가 선고를 듣고 있다. |
아버지 잃은 슬픈 눈망울
![]() ![]() |
1980년 5월 당시 사망한 조사천씨의 영정을 안고있는 아들 조천호씨. |
민주 택시기사 시위
![]() ![]() |
1980년 5월 20일 계엄군의 폭압적인 진압에도 광주시 동구 금남로가 시민과 택시·버스로 가득 메워졌다. |
도청앞 즐비한 관 시신 확인
![]() ![]() |
1980년 5월 22일 한 시민이 전남도청앞에서 관을 덮고 있는 태극기를 들춰가며 가족의 시신을 찾고 있다. |
사진=광주일보 자료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