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 특수교육 분야 지원 대폭 확대
2020년 04월 20일(월) 17:40 가가
초·중·고 12개 학교 선정 통합교육 동아리 지원 … 장애공감문화 확산
특수교육과 설치 대학교와 연계 ‘통합교육지원 대학생 자원봉사제’ 열어
특수교육과 설치 대학교와 연계 ‘통합교육지원 대학생 자원봉사제’ 열어
광주교육청이 특수교육 분야 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있다.
20일 광주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시 교육청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의 성공적 사회통합 실현을 위해 통합교육 동아리 운영과 통합교육지원 대학생 자원봉사제, 특수교육 진로체험축전 등 통합교육·특수교육 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은 특수교육 확대와 통합교육 여건 개선을 위해 일반학교(유치원 1개원, 초등학교 3개교, 중학교 4개교, 고등학교 1개교)에 9개 특수학급을 신설했고,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학교에 특수학급 10학급이 증설돼 총 224교에서 291개 특수학급이 운영되고 있다.
시 교육청은 우선 일반학교 장애공감문화 확산을 위해 통합교육 동아리를 지원한다. 올해 초6, 중3, 고3 총 12개교를 선정해 지원할 예정이다. 통합교육 학교문화조성의 적극적 개입자로서 일반교사, 특수교사 구분 없이 모두 운영 가능하다.
시 교육청은 광주 지역 특수교육과 설치 대학교(광주여자대학교, 남부대학교,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와 연계해 ‘통합교육지원 대학생 자원봉사제’를 연다.
안정적인 통합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예비교사)이 교육활동 내에서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등교 개학 이후에 바로 지원될 예정이다.
특수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직업 동기 부여에 대한 비전 제시를 위해 ‘2020 광주특수교육진로체험축전(가칭)’도 준비하고 있다.
또 학생의 소질 및 적성을 계발하고 취미 및 특기 신장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특기적성교육 개별지원비를 월 9만원에서 10만원으로 인상해 지원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기관 휴원 또는 치료 지원 중단에 따라 3월부터 미 사용된 치료지원비는 8월까지 사용 가능하다.
장휘국 광주교육감은 “온라인 개학에 따라 특수교육을 받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부터 과제물 제공, 가정 방문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원격수업을 제공하고 있지만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님들도 학교 등교를 기다리고 있다”며 “학생들의 건강을 위해 노력해 주시는 학부모님께 깊이 감사드리고 가정에 있는 시간이 길었던 만큼 학생들이 등교해 즐겁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준비를 잘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교육청은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장애인식 개선 및 장애공감문화 확산을 위해 기념신문 제작을 지원했다.
광주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제작한 제40회 장애인의 날 기념신문 ‘같이 걸을까?’는 ▲우리 지역 장애인 연합밴드 인터뷰 ▲장애 유튜버 4인방 소개 ▲코로나 관련 보완대체 의사소통 카드 ▲장애인 참정권 등으로 구성돼 있다. 신문(11만2950부)은 광주 지역 초·중·고등학교의 장애인식개선 교육자료로 활용된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
20일 광주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시 교육청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의 성공적 사회통합 실현을 위해 통합교육 동아리 운영과 통합교육지원 대학생 자원봉사제, 특수교육 진로체험축전 등 통합교육·특수교육 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시 교육청은 우선 일반학교 장애공감문화 확산을 위해 통합교육 동아리를 지원한다. 올해 초6, 중3, 고3 총 12개교를 선정해 지원할 예정이다. 통합교육 학교문화조성의 적극적 개입자로서 일반교사, 특수교사 구분 없이 모두 운영 가능하다.
특수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직업 동기 부여에 대한 비전 제시를 위해 ‘2020 광주특수교육진로체험축전(가칭)’도 준비하고 있다.
또 학생의 소질 및 적성을 계발하고 취미 및 특기 신장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특기적성교육 개별지원비를 월 9만원에서 10만원으로 인상해 지원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기관 휴원 또는 치료 지원 중단에 따라 3월부터 미 사용된 치료지원비는 8월까지 사용 가능하다.
장휘국 광주교육감은 “온라인 개학에 따라 특수교육을 받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부터 과제물 제공, 가정 방문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원격수업을 제공하고 있지만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님들도 학교 등교를 기다리고 있다”며 “학생들의 건강을 위해 노력해 주시는 학부모님께 깊이 감사드리고 가정에 있는 시간이 길었던 만큼 학생들이 등교해 즐겁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준비를 잘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교육청은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장애인식 개선 및 장애공감문화 확산을 위해 기념신문 제작을 지원했다.
광주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제작한 제40회 장애인의 날 기념신문 ‘같이 걸을까?’는 ▲우리 지역 장애인 연합밴드 인터뷰 ▲장애 유튜버 4인방 소개 ▲코로나 관련 보완대체 의사소통 카드 ▲장애인 참정권 등으로 구성돼 있다. 신문(11만2950부)은 광주 지역 초·중·고등학교의 장애인식개선 교육자료로 활용된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