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코로나 재확산 우려…관광명소 속속 폐쇄
2020년 03월 30일(월) 18:00
경제·사회 정상화 빠르게 밀어붙이던 정부 태세 전환
산발적 신규 환자 발생…대도시 개학 또 기약 없어져

중국 내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음에 따라 중국 대형 쇼핑몰과 주요 관광지들이 다시 문을 닫았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저지전에서 사실상 승리했다고 자평하면서 경제·사회 정상화를 빠르게 밀어붙이던 중국이 다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들을 속속 폐쇄하고 있다.중국이 이렇게 태세를 전환한 것은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19 확산이 급속히 진행 중인 가운데 중국 내부에서도 산발적으로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하면서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30일 상하이시에 따르면 상하이를 대표하는 관광지인 동방명주(東方明珠)가 이날부터 다시 문을 닫는다.상하이의 양대 고층 건물인 상하이타워와 진마오(金茂)빌딩 전망대도 이날부터 영업을 중단한다.상하이시는 “코로나19 방역 업무를 한층 더 강화하고 여행객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운영 중단 이유를 설명했다.상하이를 상징하는 관광지인 이들 시설은 코로나19 신규 환자 발생이 급감한 가운데 지난 12일 영업을 재개했는데 18일 만에 다시 문을 닫게 됐다.

중국의 다른 주요 도시에서도 유사한 조치가 잇따르고 있다.

환타이치(幻太奇)해양공원을 비롯한 산시성 시안(西安)의 3대 아쿠아리움은 29일부터 다시 문을 닫았다.안후이성 추저우시에 있는 명산인 랑야산도 29일부터 관내 관광지 개방을 다시 멈췄다.

복수의 성(省)급 지역에서 유사 조치가 잇따른 것으로 볼 때 이번 조치는 중앙정부 차원의 지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따라서 조만간 중국 전역의 유명 관광지와 공원들이 추가로 문을 닫는 일이 잇따를 가능성이 크다.

일련의 움직임은 중국 당국의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대한 인식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어 주목된다.중국은 공식 통계상으로 코로나19 신규 환자 발생이 급감하자 내달 8일 우한(武漢) 봉쇄를 해제할 계획임을 밝히는 등 경제사회 정상화를 빠르게 추진 중이다.이미 1∼2월 중국 경제가 코로나19로 큰 충격을 받은 상황이어서 중국 지도부는 조속한 경제 회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이런 상황 변화를 두고 ‘방역전’이 ‘경제 보위전’으로 전환됐다고 평가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주요 공장 등 산업시설이 정상화 수순을 밟고 있고 백화점·할인마트 등 상업 시설에도 사람들이 몰리고 있다.관광지에 다시 인파가 몰리고 최근 들어서는 영업 허가가 미뤄지던 실내 키즈카페와 피트니스센터, 수영장까지도 문을 열었다.

하지만 지난 주말을 앞두고부터 중국 당국이 상황을 다시 심각하게 보고 있음을 보여주는 징후들이 나타났다. 국가라디오텔레비전총국(광전총국)은 긴급 지침을 내려 지난 27일부터 다시 문을 열 영화관이 계속 운영을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받은 상하이 등 대도시 영화관들은 두 달 만에 다시 문을 열 계획이었으나 이는 없는 일로 됐다.

최근 중국에서는 코로나19 신규 환자가 산발적으로 발견되면서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커졌다. 지난 26일, 28일, 29일 저장성, 허난성, 간쑤성에서 각각 ‘내부 환자’가 한 명씩 발견됐다. 지역 사회 감염 환자로 추정되는 이들이 잇따라 발견됐다는 것은 중국에 이보다 훨씬 더 많은 실제 환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아울러 중국에서는 최근 중국 당국이 공식적으로 코로나19 확진 환자로 공개하지 않는 ‘무증상 감염자’에 관한 우려가 커졌다. 중국이 공표하지 않는 무증상 감염자는 4만3000명 이상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