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손 없는 독립운동가들 추모 공간 마련을
2019년 08월 15일(목) 04:50
전라도 출신 독립운동가 가운데 후손들이 확인되지 않은 ‘무후(無後) 선열’이 5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독립 유공자 네 명 중 한 명꼴로 그들을 추모하거나 업적을 기려 나갈 자손들이 없다는 예기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호남 의병 활동과 3·1 만세 운동, 학생독립운동 등에 참여해 일제에 항거한 공적을 정부로부터 인정받은 전라도 출신 독립 유공자는 모두 2107명이다. 이는 북한을 포함한 10개 도 가운데 경상도와 평안도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숫자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후손이 확인되지 않은 유공자가 전체의 23.3%인 493명(전남 162명·전북 331명)이나 된다. 올해 제74주년 광복절 정부 포상에도 광주·전남 출신 46명이 이름을 올렸지만 19명은 후손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정부가 제작한 이들 무후 선열들의 훈장은 전수해 줄 사람이 없어 후손이 확인될 때까지 국가보훈처에서 보관하게 된다고 한다.

후손이 없어도 그나마 이름이 알려진 일부 독립운동가들은 기념사업회 등이 꾸려져 추모가 이뤄지고 있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못한 채 기록상으로만 존재한다. 1919년 3월 광주만세운동 때 일제에 항거하다 팔이 잘려 평생 독신으로 산 윤형숙 선생, 1907년 일제와 싸우다 교수형을 당한 호남 의병장 김봉규 선생 등은 마을 주민이 제사를 지내 주거나 자치단체가 추진하는 합동 추모제에서만 이름이 거론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무후 선열들의 업적을 조명하고 후대에 알릴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자치단체 등이 나서 나라를 위해 산화한 선열들을 한자리에 모셔 추모하고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단이나 추모 공간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독립 유공자 후손 확인 작업도 보다 강화해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