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광산구 4개 산단 입주 중소기업 특별지원 2년 연장
2025년 11월 23일(일) 18:15 가가
중기부, 내수 부진·공급망 불안정·지역경제 파급 등 고려 결정
제한경쟁입찰·수의계약 우대·정부 등 지원 평가 가점 혜택 지속
제한경쟁입찰·수의계약 우대·정부 등 지원 평가 가점 혜택 지속
광주시 광산구 4개 산업단지에 입주한 중소기업들이 앞으로 2년 동안 정부의 각종 지원 혜택을 추가로 받게 됐다.
올해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 세계 공급망 불안정이 지속돼 제조업 기반의 광주지역 산업단지가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이번 연장 결정은 지역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3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광주시 광산구 내 하남 산업단지, 진곡 산업단지, 평동 1·2차 산업단지, 평동 3차 일반산업단지 등 총 4개 산단 등이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으로 선정됐다.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제도는 정부가 경영 환경 악화나 구조조정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밀집 지역 정상화를 지원하는 제도로 지역 내 기업의 경쟁력 회복과 고용 유지, 산업 생태계 안정화를 목표로 한다.
광산구 4개 산업단지는 2023년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지정 이후 지난 20일까지 지원 혜택을 받아왔다. 최근 중소벤처기업부 심의위원회에서 경영 환경 불안 요인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판단이 나옴에 따라 2년 추가 연장이 결정됐다.
해당 산단에는 기계·자동차 부품·전기·금속가공 등 광주 제조업 기반을 담당하는 핵심 산업군이 밀집해 있어 경쟁력 약화 시 지역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크다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지원 기간 연장으로 산단 내 중소기업들은 오는 2027년 11월 20일까지 제한경쟁입찰·수의계약에서 계약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하는 각종 연구개발(R&D) 사업,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화·수출 지원 등 중기부 지원 사업 평가에서 가점 부여를 받을 수 있다. 또 법인세·소득세·개인지방소득세 50% 감면, 정책자금 융자 우대, 병역지정업체 지정, 중소벤처기업부 사업 우대 지원 등의 혜택이 포함돼 경영 부담 완화 효과가 기대된다.
최근 광산구 제조업계는 대유위니아 법정관리 사태로 납품 업체와 협력사들이 연쇄적인 어려움에 직면한 상황이었다. 생산 물량 급감과 미지급 대금 문제 등으로 중소기업 생태계 전반이 흔들리면서 지역 산업 기반 유지를 위한 대책 마련 요구가 높았다. 특히 산업단지는 지역 일자리와 직결돼 있어 구조적 타격이 장기화될 경우 고용 감소로 이어진다는 우려까지 제기됐다.
이같은 상황에 이번 지원 연장을 계기로 지역 산업 생태계 회복과 안정적 성장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대유위니아 사태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경영 정상화를 도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산업단지 활성화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최승렬 기자 srchoi@kwangju.co.kr
올해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 세계 공급망 불안정이 지속돼 제조업 기반의 광주지역 산업단지가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이번 연장 결정은 지역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제도는 정부가 경영 환경 악화나 구조조정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밀집 지역 정상화를 지원하는 제도로 지역 내 기업의 경쟁력 회복과 고용 유지, 산업 생태계 안정화를 목표로 한다.
지원 기간 연장으로 산단 내 중소기업들은 오는 2027년 11월 20일까지 제한경쟁입찰·수의계약에서 계약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하는 각종 연구개발(R&D) 사업,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화·수출 지원 등 중기부 지원 사업 평가에서 가점 부여를 받을 수 있다. 또 법인세·소득세·개인지방소득세 50% 감면, 정책자금 융자 우대, 병역지정업체 지정, 중소벤처기업부 사업 우대 지원 등의 혜택이 포함돼 경영 부담 완화 효과가 기대된다.
최근 광산구 제조업계는 대유위니아 법정관리 사태로 납품 업체와 협력사들이 연쇄적인 어려움에 직면한 상황이었다. 생산 물량 급감과 미지급 대금 문제 등으로 중소기업 생태계 전반이 흔들리면서 지역 산업 기반 유지를 위한 대책 마련 요구가 높았다. 특히 산업단지는 지역 일자리와 직결돼 있어 구조적 타격이 장기화될 경우 고용 감소로 이어진다는 우려까지 제기됐다.
이같은 상황에 이번 지원 연장을 계기로 지역 산업 생태계 회복과 안정적 성장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대유위니아 사태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경영 정상화를 도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산업단지 활성화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최승렬 기자 srchoi@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