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노조, 찬성 79.5%로 파업 가결…광주경제 ‘전전긍긍’
2025년 09월 21일(일) 18:05 가가
노조 22일 쟁의대책위 열어 최종 결정…파업 땐 지역경제 타격
노동위 조정·노사 교섭은 계속…영업이익 30% 성과급 등 요구
노동위 조정·노사 교섭은 계속…영업이익 30% 성과급 등 요구


기아 노동조합이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 결렬에 따른 쟁의행위(파업)를 가결하면서 미국발 관세 악재를 겪고 있는 기아 오토랜드 광주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기아 오토랜드광주에 완성된 차량이 대기하고 있다. <광주일보 자료사진>
기아 노동조합이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 결렬에 따른 쟁의행위(파업)를 가결하면서, 미국발 관세 악재를 겪고 있는 기아 오토랜드광주가 ‘내우외환’의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지역 경제계에선 광주 수출의 절대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 대표 기업인 기아가 5년 만의 파업으로 흔들릴 경우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경제에도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1일 기아 노조에 따르면 지난 19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8시까지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해 총원 대비 79.5%의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했다. 광주지회 역시 72.1%가 찬성표를 던지며 파업 참여 의지를 드러냈다.
노조는 22일 쟁의대책위원회 1차 회의를 열고 파업 돌입 여부와 시점, 방식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어 중앙노동위원회 조정과 노사 교섭 절차 등이 이어질 전망이다.
앞서 기아 노사는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무분규로 협상을 타결한 바 있다.
기아 노조는 ▲기본급 14만 1300원 인상 ▲지난해 영업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만 64세 정년 연장 ▲주 4일제 도입 등을 요구하고 있다.
지역 경제계는 기아의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미국발 관세 충격과 맞물려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아는 최근 미국이 일본산 차량 관세를 15%로 낮춘 반면 한국산은 여전히 25%가 유지하면서, 미국 수출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도 크게 떨어진 상황이다.
특히 기아 오토랜드광주의 파업은 기업 차원의 문제가 아닌 지역 수출 구조 전반에 걸쳐 직결되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지역 경제계의 걱정도 깊어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지부가 발표한 ‘8월 광주·전남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광주의 대미 10대 수출 품목 중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80%를 넘어섰다. 사실상 광주의 미국 수출 실적은 기아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광주에서 생산된 기아 자동차는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시장으로 수출돼 지역 경제를 떠받쳐오고 있으며, 파업으로 인해 생산과 선적 일정 등이 차질을 빚는다면 지역 내 부품 협력 업체와 운송 업계 등 관련 산업이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는 게 지역 경제계의 우려다.
특히 기아 오토랜드광주는 스포티지 등 세계 시장을 겨냥한 주요 모델을 생산하고 있는 만큼 파업으로 공급망이 흔들리면 소비자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져 장기적인 시장 점유율 등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 기아 관련 사업자는 “기아는 광주에서만 협력 업체를 포함해 수만명의 일자리를 만든 기업으로 파업의 파장이 단순한 자동차 산업을 넘어 지역 내 생산·소비·투자 등 지역경제 전반으로 확산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추석 명절을 앞두고 파업 가능성에 대한 소식이 들려와 당황스러울 뿐”이라고 말했다.
광주상의 관계자도 “통상 압박과 국내 경기 둔화로 먹구름이 짙은 가운데 그나마 경제를 지탱해 온 자동차산업에서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경제 전반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특히 완성차 생산 중단은 협력업체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납기 차질과 유동성 위기로 직결될 수 있어 지역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운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럴 때일수록 멀리 내다보고 모두가 상생할 해법을 찾아야 한다”며 “노사가 마음을 열고 대화로 현실적인 접점을 신속히 마련하고 생산 안정과 공급망 보호를 최우선으로 협력사 피해를 최소화해 달라”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지역 경제계에선 광주 수출의 절대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 대표 기업인 기아가 5년 만의 파업으로 흔들릴 경우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경제에도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노조는 22일 쟁의대책위원회 1차 회의를 열고 파업 돌입 여부와 시점, 방식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어 중앙노동위원회 조정과 노사 교섭 절차 등이 이어질 전망이다.
기아 노조는 ▲기본급 14만 1300원 인상 ▲지난해 영업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만 64세 정년 연장 ▲주 4일제 도입 등을 요구하고 있다.
기아는 최근 미국이 일본산 차량 관세를 15%로 낮춘 반면 한국산은 여전히 25%가 유지하면서, 미국 수출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도 크게 떨어진 상황이다.
특히 기아 오토랜드광주의 파업은 기업 차원의 문제가 아닌 지역 수출 구조 전반에 걸쳐 직결되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지역 경제계의 걱정도 깊어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지부가 발표한 ‘8월 광주·전남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광주의 대미 10대 수출 품목 중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80%를 넘어섰다. 사실상 광주의 미국 수출 실적은 기아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광주에서 생산된 기아 자동차는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시장으로 수출돼 지역 경제를 떠받쳐오고 있으며, 파업으로 인해 생산과 선적 일정 등이 차질을 빚는다면 지역 내 부품 협력 업체와 운송 업계 등 관련 산업이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는 게 지역 경제계의 우려다.
특히 기아 오토랜드광주는 스포티지 등 세계 시장을 겨냥한 주요 모델을 생산하고 있는 만큼 파업으로 공급망이 흔들리면 소비자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져 장기적인 시장 점유율 등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 기아 관련 사업자는 “기아는 광주에서만 협력 업체를 포함해 수만명의 일자리를 만든 기업으로 파업의 파장이 단순한 자동차 산업을 넘어 지역 내 생산·소비·투자 등 지역경제 전반으로 확산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추석 명절을 앞두고 파업 가능성에 대한 소식이 들려와 당황스러울 뿐”이라고 말했다.
광주상의 관계자도 “통상 압박과 국내 경기 둔화로 먹구름이 짙은 가운데 그나마 경제를 지탱해 온 자동차산업에서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경제 전반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특히 완성차 생산 중단은 협력업체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납기 차질과 유동성 위기로 직결될 수 있어 지역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운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럴 때일수록 멀리 내다보고 모두가 상생할 해법을 찾아야 한다”며 “노사가 마음을 열고 대화로 현실적인 접점을 신속히 마련하고 생산 안정과 공급망 보호를 최우선으로 협력사 피해를 최소화해 달라”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