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균형발전에 역행하는 정부 광고 집행
2025년 09월 17일(수) 00:00 가가
정부가 집행하는 광고에서 지역신문 비중이 갈수록 줄고 있다는 것은 지역언론 활성화에 역행하는 처사다. 윤석열 정부 시기인 지난 3년간 지역신문에 대한 정부 광고 비중이 해마다 줄어든 것은 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에 대한 정책 배려가 전혀 없었다는 것을 방증한다.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광주 광산을)이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2022~2024년)간 신문에 투입된 정부 광고 가운데 지역지 비중은 2022년 46%(1046억원)에서 2024년 41.8%(1014억원)로 줄어든 반면 전국지(중앙지) 비중은 2022년 54.0%(1226억원)에서 2024년 58.2%(1409억원)로 늘었다. 지역별 편차도 심해 2022년부터 올해 8월까지 영남 소재 지역지의 누적 집행액은 1411억원이지만 호남은 3분의 1에 불과한 461억원이었다. 호남은 충청권에 비해서도 200억원 가량 적어 인구나 경제 규모와 비교해도 소외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지 가운데 호남에 집행된 광고 비중은 전체의 12% 수준인데 이는 언론사 수나 종사자 수에서도 역차별이란 지적을 받을만 하다. 한국기자협회 소속 언론사는 광주·전남이 18개이고 전북(12개)까지 포함하면 호남은 30개로 부산(8개),대구·경북(13개), 경남·울산(13개) 등 34개인 영남권과 비슷하고 대전·충남(8개), 충북(13개) 등 21개인 충청권보다 훨씬 많다.
윤석열 정부와 같은 지역언론 홀대는 더 이상 있어서는 안된다. 지역신문은 지역 현안에 대한 공론장 역할을 함으로써 지역 발전과 주민들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더구나 지역언론 활성화는 이재명 정부의 지역균형발전과 언론 다양성 보장 공약을 실현하는 방안이기도 하다. 지금이라도 정부는 지역과 매체간 집행 기준을 공개하고 균형있는 집행이 되도록 로드맵을 마련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