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회 고산문학대상’에 신용목(현대시), 최양숙(시조) 시인
2025년 08월 20일(수) 14:30
고산문학축전운영위 발표…수상시집 ‘우연한 미래게 우리가 있어서’, ‘종소리에는 마디가 있다’
신인상 이탁연, 홍영숙 시인…시상식 오는 10월 17일 땅끝순례문학관

신영목 시인

최양숙 시인
이탁연 시인
홍영숙 시인
‘제25회 고산문학대상’에 신용목(현대시), 최양숙(시조) 시인이 각각 선정됐다.

수상 작품집은 ‘우연한 미래게 우리가 있어서’, ‘종소리에는 마디가 있다’이며 상금은 각 2000만원.

고산문학축전운영위원회(위원장 황지우)는 ‘제25회 고산문학대상’ 수상자를 20일 발표했다.

고산문학대상은 해남군이 후원하고 고산문학축전운영위원회와 ‘열린시학’이 공동으로 주관하며 지난 1년 동안 발간된 시집들을 대상으로 현대시와 시조 부문에서 각 100여 명 시인, 평론가들의 추천을 받아 심사했다.

현대시 심사에 참여한 이영광·손택수 시인, 신형철 평론가는 신용목 시집에 대해 “세계의 부조리와 날카롭게 맞서면서도 결코 놓치지 않는 낭만적 고백의 자화상이 돋보이고, 타자에 대한 깊은 연대감을 통해 무거운 사회적 제재들을 다룰 때조차 시적 부력을 잃지 않고 있다”고 평했다.

신용목 시인은 “해남은 다시 나를 다그치는 것이다”라며 “확신의 외부에서 시의 이유가 자꾸 뒤바뀌는 혼란과 혼돈의 나에게, 그렇게 떠돌라고, 영원히 신념 안에 살지 말라고 나를 문밖으로 내모는 것이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신 시인은 고려대 대학원 국어국문과 박사과정을 졸업했으며 2000년 작가세계 신인상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그 바람을 다 걸어야 한다’ 등이 있으며 백석문학상, 현대시작품상, 김승옥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계명대 문창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시조 부문 심사를 맡은 정용국·박현덕 시인, 황치복 평론가는 최양숙 시조집에 대해 “현실의 삶을 통찰하며, 시간 속에서 사물을 관찰해 그 ‘풍경’을 삶의 근원적 사실로 재인식하고 있으며, 역설과 아이러니, 그리고 상징 등의 다양한 현대시적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시적 공간을 무한히 확장하고 있다”고 평했다.

최 시인은 “고산의 넓은 품과 선구적인 시 정신을 계승하고 지금까지 그래왔듯 앞으로도 변함없이 시조를 사랑하겠다”고 말했다.

광주 출신의 최 시인은 조선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석사를 졸업했으며 ‘열린시조’로 등단했으며 시조집 ‘활짝, 피었습니다만’ 등 다수의 작품집을 펴냈다. 시조문학작품상, 열린시학상, 시조시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현재 반전, 사래시, 율격, 후조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편올해 9회째를 맞은 ‘고산문학대상 신인상’은 현대시 부문 이탁연의 ‘왜덕상타령’, 홍영숙의 ‘길 너머의 길’이 수상작으로 당선됐다. 상금은 각 300만원.

시상식은 오는 10월 17일 고산 고택이 있는 해남 땅끝순례문학관 야외무대에서 열릴 예정이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