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의원 노린 ‘딥페이크 협박’ 수사 난항
2025년 08월 17일(일) 20:35
광주·전남 등 40명에 협박 메일
용의자 추적 성과없이 수사 중지
광주·전남을 비롯한 전국 기초의회 의원들을 대상으로 ‘딥페이크’(Deepfake) 불법 합성물이 담긴 협박성 메일이 유포된 ‘딥페이크 협박 사건’에 대한 수사가 난항을 겪고 있다. 자칫 수사의 어려움을 이유로 유사 사건이 재발할 우려도 커지고 있다.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 등에 따르면 최근 광주와 서울, 인천 등 지역 기초의원에게 딥페이크 협박 사건과 관련한 ‘수사 중지’ 결과가 통보됐다.

경찰은 IP, 휴대전화 번호 등을 토대로 용의자 추적을 해 왔으나 뚜렷한 성과를 보지 못한 데 따라 수사를 중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외 발송 메일을 이용한 범죄인 만큼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 공조도 요청했으나, 회신이 오지 않았다.

광주경찰청은 지난해 11월 광주 지역 기초의원 2명으로부터 고소장을 접수해 수사에 나섰다. 이들이 받은 메일에는 기초의회 홈페이지에 게시된 의원 증명사진을 민망한 사진에 합성하고 ‘사진·영상을 유포당하기 싫으면 돈을 보내라’는 내용이 적혀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광주 서구의원 3명, 남구의원 1명, 북구의원 2명 등을 비롯한 전국 기초의원 40여명이 딥페이크 협박 메일을 받은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 4월에는 순천시의회 의원 14명도 합성 사진이 담긴 메일을 받았다.

광주경찰청은 전국적으로 유사한 메일이 유포됐다는 점에서 동일 용의자의 소행으로 판단하고 서울경찰청에 사건을 이첩했다.

경찰은 인터폴 공조, 추가 단서 확보 등 수사 진척이 있을 경우 수사를 재개할 방침이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