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상의 “국가AI데이터센터 운영 예산 전액 반영해야”
2025년 04월 21일(월) 19:50 가가
기재부 “지역 사업” 억지 주장으로 670억원 중 25억원만 추경 반영
“전국 900여 기업 이용 중인 국가 사업…추경안 확정땐 심각한 차질”
“전국 900여 기업 이용 중인 국가 사업…추경안 확정땐 심각한 차질”
광주상공회의소(광주상의)가 정부와 국회 등에 광주의 미래가 달린 인공지능(AI) 2단계 사업인 ‘AX실증밸리사업’ 예산을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 전액 반영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기획재정부가 광주시에서 진행 중인 전국 유일의 국가 AI데이터센터 등 AI 2단계 사업을 지역 자체 사업으로 왜곡하고, 지원 예산을 대폭 축소했기 때문이다.
광주상의는 21일 한상원 회장 명의의 건의문을 내고 기획재정부, 박정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여야 간사·위원 등에게 “국가AI데이터센터 운영 예산이 이번 추경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데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광주시는 국가AI데이터센터 운영 등을 위해 올해 꼭 필요한 670억원의 국비 예산을 추경안에 포함했지만, 기획재정부는 지역 사업으로 왜곡 축소하고 추경에 25억원만 반영했다.
기재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AI 인프라인 GPU(그래픽처리장치) 확보를 위한 예산을 별도로 편성한 상황에서, 광주만 별도 지원하는 것은 예산 중복 집행이라는 이해하기 힘든 주장도 내놨다.
광주상의는 “광주에 설치된 국가AI데이터센터는 전국 900여개 기업이 2000여건의 AI 프로젝트를 수행 중인 전국 단위의 국가 공공 인프라로, 지역 사업이라는 기재부의 주장은 말도 안되는 것”이라면서 “국가AI데이터센터는 현재 기업 지원은 물론 고성능 연산장비(GPU), 대용량 데이터 저장소, 보안 인증 체계, AI 테스트베드 등 핵심 자원을 통합적으로 제공해 국내 기업·대학·연구 기관이 고비용 장비 없이도 AI 기술 개발과 실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내 유일의 국가 AI데이터센터”라고 강조했다.
광주상의는 “추경안이 이대로(25억원) 확정될 경우 사업 추진에 심각한 차질이 우려된다”며 “정부가 이 사업을 ‘지역 사업’으로 한정해 분류한 것은 국가적 활용성과 전략적 중요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그 의도마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광주상의는 이어 “AI 기술 주권 확보는 단기적 재정 지원만으로 실현되기 어렵고 중장기적 기반 시설의 구축과 안정적 운영이 병행될 때 완성된다”며 “현재 우리나라는 AI 반도체, 초거대 언어 모델, 자율주행, 디지털 헬스케어 등 신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기술 경쟁에 직면하고 있으며, 중소기업과 연구기관은 자체적인 고성능 연산 환경 구축에 한계를 겪고 있다. 이러한 여건을 고려할 때 공공 AI 인프라의 확충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덧붙였다.
광주상의는 끝으로 “광주 주도의 인공지능 사업이 향후 본예산과 중장기 재정 계획에 안정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국가사업으로서 정당한 예산 배분이 이뤄지길 거듭 호소한다”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광주시는 국가AI데이터센터 운영 등을 위해 올해 꼭 필요한 670억원의 국비 예산을 추경안에 포함했지만, 기획재정부는 지역 사업으로 왜곡 축소하고 추경에 25억원만 반영했다.
광주상의는 “추경안이 이대로(25억원) 확정될 경우 사업 추진에 심각한 차질이 우려된다”며 “정부가 이 사업을 ‘지역 사업’으로 한정해 분류한 것은 국가적 활용성과 전략적 중요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그 의도마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광주상의는 이어 “AI 기술 주권 확보는 단기적 재정 지원만으로 실현되기 어렵고 중장기적 기반 시설의 구축과 안정적 운영이 병행될 때 완성된다”며 “현재 우리나라는 AI 반도체, 초거대 언어 모델, 자율주행, 디지털 헬스케어 등 신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기술 경쟁에 직면하고 있으며, 중소기업과 연구기관은 자체적인 고성능 연산 환경 구축에 한계를 겪고 있다. 이러한 여건을 고려할 때 공공 AI 인프라의 확충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덧붙였다.
광주상의는 끝으로 “광주 주도의 인공지능 사업이 향후 본예산과 중장기 재정 계획에 안정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국가사업으로서 정당한 예산 배분이 이뤄지길 거듭 호소한다”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