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시받고 교통 불편…교육 걱정도... 영암 외국인 노동자 “떠나고 싶다”
2025년 04월 02일(수) 21:15
국토연구원 ‘인구감소지역 외국인 이주노동자 체류실태’ 보고서
영암, 전국 소멸지역 중 외국인 근로자 7403명으로 가장 많아
외국인 이주 노동자 57.4% “수도권 등 타 시·도로 이사 희망”
한국어교육 등 시급…지자체, 지역 정착 유도 방안 고민해야

/클립아트코리아

#조선소에서 일할 때 시끄럽고 덥고 힘들죠. 그런데 ‘야 하지마’라면서 소리치는데 기분이 나빠요. 한국사람 대부분이 그러는 건 아지만 외국사람한테 소리쳐도 된다고 생각하는 분이 있어요. 외국인은 항상 ‘아래다’라고 생각하는 사람 있어요.

#여기(영암군) 교통이 가장 불편해요. 버스가 900번, 300번 2대만 있거든요. 택시비도 너무 비싸요. 목포갈 때 택시타면 2만5000원이 나와요. 교통비 너무 비싸요.

#한국 교육 커리큘럼이 네팔과 너무 달라요. 내가 한국에 계속 살지 말지 지금 잘 모르잖아요. 만약 영주권 못 따면 애들은 다시 돌아가야 하는데 네팔가면 적응 못할 것 같아 걱정이 많아요.

‘외국인 노동자를 무시하는 행태, 불편한 교통, 자녀 교육의 어려움’.

영암군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밝힌 한국살이 어려움이다. 인구소멸 지역인 전남에서 내국인의 빈자리를 메우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이지만 이들의 어려움은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암은 정부가 지정한 인구소멸지역 중 전국에서 외국인근로자가 가장 많은 곳이지만, 영암지역 외국인 근로자 절반 이상은 수도권 등 타지역으로의 이사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영암군은 비수도권 최초로 군청 내에 이주민지원팀을 신설하는 등 다양한 이주노동자 지원 정책을 추진 중이지만 이들의 지역 정착을 위해서는 더욱 고민해야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국토연구원이 발간한 ‘인구감소지역 외국인 이주노동자 체류실태와 지역정착 방안’ 자료에 따르면 연구원이 만난 영암지역 이주노동자의 57.4%가 타 시·도로의 이사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밝힌 영암을 떠나고 싶은 이유는 소득과 근무지 환경 등 경제환경 때문이었다. 이들은 영암을 떠나 수도권(77.1%)과 인접지역(11.4%)으로의 이사를 희망했다.

인구감소지역 중 외국인 이주노동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영암군(7403명)이었다.

뒤이어 충남 논산시(4769명), 경남 밀양시(4015명) 순이었다. 또 2018년 대비 2023년 전국 89개 지역 중 약 92.1% 지역에서 외국인 이주노동자가 증가했다. 영암은 이주노동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3305명↑) 지역으로 꼽혔다. 특히 조선소가 위치한 삼호읍에 7000명이 넘게 거주하고 있었다.

영암내 이주노동자는 E-9비자(비전문취업)로 머무르는 경우가 3625명으로 가장 많았다. E-7(특정취업)은 1292명이었다. 체류자격은 다르지만 이들 모두 삼호읍 조선소 내 근무자들이다.

국토연구원은 대불산단을 중심으로 제조업에 종사하는 외국인 이주노동자가 밀집해 있어 지자체·기업이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지만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무엇보다 직장내 차별 금지 교육과 한국어 교육이 시급하다는 게 국토연구원 분석이다.

국토연구원 심층면접에 응한 영암지역 이주노동자들이 밝힌 차별장소 1위는 일터였고, 차별의 이유를 한국어 실력 부족으로 꼽았다.

이 때문인지 응답자들은 영암군과 회사의 추가지원 희망 서비스로 한국어를 선택했다.

국토연구원은 “영암군내 이주노동자들의 전반적인 지역사회 정착 의향은 높지만, 각 부문별 만족도는 다소 낮은 수준이며, 경제적 환경 등을 이유로 수도권 이주 의향이 높다”며 “또 직장에서의 차별 경험이 높은 편이므로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