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탄핵 선고일 지정에 “헌재, 이제 서민들 일상 돌려줘야”
2025년 04월 01일(화) 20:05 가가
광주·전남 각계 단체들 “탄핵 인용은 결코 뒤집힐 수 없는 수순”
“정치적 이해관계 떠나 경기 부양·외교문제·민생 회복에 집중을”
“정치적 이해관계 떠나 경기 부양·외교문제·민생 회복에 집중을”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은 1일 오후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의 탄핵심판 선고(4일)를 환영하며 윤석열의 즉각 파면과 한덕수, 최상목 국무위원 전원 탄핵을 촉구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늦었지만 헌법재판소가 윤석열을 파면해 평범한 일상을 돌려줬으면 합니다.”
광주·전남 지역민은 헌법재판소(헌재)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일을 4일로 지정했다는 소식에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히며 빠른 일상회복의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고물가가 이어지면서 경제난에 지역경제가 추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헌재가 윤 대통령을 파면해 경제가 회복되고 상식이 통하는 사회가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자영업에 종사하는 이원기(56·광주시 북구 연제동)씨는 “계엄과 탄핵이 시작되면서 넘쳐나던 일감이 줄어들고 이제는 두 손을 놓고 피크 타임에도 쉬고 있다”면서 “탄핵 선고가 지연되면서 덩달아 늦어졌던 경제 부양정책이 이제는 물살을 타 서민들의 숨통이 트였으면 좋겠다”고 소원했다.
정이근(56·광산구 평동) 씨도 “계엄 이후 환율도 오르고 수출은 안 되는 상황에서 국가 신인도까지 곤두박질치고 있는 것이 대한민국의 현주소”라며 “이번 탄핵을 계기로 법치주의와 민주주의가 무너지지 않도록 헌재가 지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광주·전남 시민사회 단체도 헌재의 탄핵심판 선고기일 지정을 환영하면서 윤 대통령 파면을 한 목소리로 촉구했다.
유창민 광주전남촛불행동 사무국장은 “쉽게 파면이 될거라고 생각했지만 오히려 헌재의 결정이 너무 늦어져 당황스러웠다”며 “늦게라도 선고기일이 확정된 만큼 헌재는 주권자인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국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사장도 “모든 국민이 계엄 정국을 함께 지켜봤기에 탄핵 인용은 결코 뒤집힐 수 없는 수순”이라면서 “상식과 주권이 회복되는 사회가 될 수 있도록 헌재가 윤석열을 빨리 파면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 이사장은 “헌재는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계엄과 탄핵 문제가 서민들의 삶, 외교 문제로 번지면서 대한민국은 고립무원 자체였다”면서 “하루빨리 일상을 회복해 민주주의가 실현돼야한다”고 덧붙였다.
광주지역 노동계도 한목소리로 헌재의 파면 결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종욱 민주노총광주지부 본부장은 “국민적 공분과 요구 덕에 좌고우면하던 헌재가 결단을 내린 점은 다행”이라면서 “국민의 인내가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헌재가 만장일치로 윤석열을 파면해야 국민적 분열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월 단체도 헌재의 선고기일 지정에 대해 일제히 “오랜만에 듣는 반가운 소식”이라며 환영했다.
양재혁 5·18유족회장은 “광주를 짓밟았던 전두환 정권의 폭압을 연상시키는 윤석열 내란수괴의 만행은 5월 가치를 훼손시키고 국민을 이분 양단 시킨 민주사회의 비극”이라며 “헌재는 더 이상 비상식적 폭주가 이어지지 않도록 역사를 직시하고 옳은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조규연 5·18부상자회장도 “헌재가 재판관 일부가 퇴임하는 18일까지 선고기일을 지정하지 않는다는 우려가 있어 걱정했지만 이제라도 선고가 진행되는 것은 다행이다”면서 “윤석열 파면은 당연한 결론이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내란공범과 주동자를 끝까지 발본색원해서 처벌해야 5·18의 전철을 밟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
/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
광주·전남 지역민은 헌법재판소(헌재)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일을 4일로 지정했다는 소식에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히며 빠른 일상회복의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자영업에 종사하는 이원기(56·광주시 북구 연제동)씨는 “계엄과 탄핵이 시작되면서 넘쳐나던 일감이 줄어들고 이제는 두 손을 놓고 피크 타임에도 쉬고 있다”면서 “탄핵 선고가 지연되면서 덩달아 늦어졌던 경제 부양정책이 이제는 물살을 타 서민들의 숨통이 트였으면 좋겠다”고 소원했다.
유창민 광주전남촛불행동 사무국장은 “쉽게 파면이 될거라고 생각했지만 오히려 헌재의 결정이 너무 늦어져 당황스러웠다”며 “늦게라도 선고기일이 확정된 만큼 헌재는 주권자인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국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사장도 “모든 국민이 계엄 정국을 함께 지켜봤기에 탄핵 인용은 결코 뒤집힐 수 없는 수순”이라면서 “상식과 주권이 회복되는 사회가 될 수 있도록 헌재가 윤석열을 빨리 파면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 이사장은 “헌재는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계엄과 탄핵 문제가 서민들의 삶, 외교 문제로 번지면서 대한민국은 고립무원 자체였다”면서 “하루빨리 일상을 회복해 민주주의가 실현돼야한다”고 덧붙였다.
![]() ![]() |
이종욱 민주노총광주지부 본부장은 “국민적 공분과 요구 덕에 좌고우면하던 헌재가 결단을 내린 점은 다행”이라면서 “국민의 인내가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헌재가 만장일치로 윤석열을 파면해야 국민적 분열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월 단체도 헌재의 선고기일 지정에 대해 일제히 “오랜만에 듣는 반가운 소식”이라며 환영했다.
양재혁 5·18유족회장은 “광주를 짓밟았던 전두환 정권의 폭압을 연상시키는 윤석열 내란수괴의 만행은 5월 가치를 훼손시키고 국민을 이분 양단 시킨 민주사회의 비극”이라며 “헌재는 더 이상 비상식적 폭주가 이어지지 않도록 역사를 직시하고 옳은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조규연 5·18부상자회장도 “헌재가 재판관 일부가 퇴임하는 18일까지 선고기일을 지정하지 않는다는 우려가 있어 걱정했지만 이제라도 선고가 진행되는 것은 다행이다”면서 “윤석열 파면은 당연한 결론이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내란공범과 주동자를 끝까지 발본색원해서 처벌해야 5·18의 전철을 밟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
/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