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양회(兩會)’가 내놓은 메시지- 구징치 주광주 중국총영사
2025년 03월 24일(월) 00:00 가가
최근 중국 ‘양회(兩會)’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양회’는 전국인민대표대회(국회에 해당, 이하 ‘전인대’)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와 유사, 이하 ‘정협’) 두 개의 회의를 일컫는 말이다. 매년 3월 초 전국 약 3000명의 전인대 대표와 2000여 명의 정협 위원들이 베이징에 모여 국정을 논의하고 중국 경제 및 사회 발전을 위한 건의안을 제출하며 구체적 방향을 모색한다.
‘양회’의 가장 중요한 업무 중 하나는 중국 국무원 총리가 제출하는 정부 업무 보고를 심의하는 것에 있다. 매년 발표되는 이 보고는 과거 1년간의 정부 업무 성과를 총결하고 본 연도의 정책 로드맵을 세밀하게 계획하는 데 초점을 둔다.
지난 한 해, 중국 경제는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해 왔으며 국내총생산은 134.9조 위안에 달하고 경제성장률은 5%를 기록했다. 중국 경제의 녹색적인 전환은 더욱 굳건해져 신에너지 자동차의 연간 생산량은 1300만 대를 돌파했고 재생에너지 신규 설비용량은 3.7억㎾에 이르렀으며 연간 대기질 우수 일수 비율은 87.2%로 상승했다.
이번 ‘양회’에서 중국은 올해도 약 5%의 경제성장률 목표를 유지할 계획을 밝혔다. 이 목표 달성을 위해 중국은 서비스업 종합개방 시범사업 확대, 인터넷 문화 분야의 체계적인 개방, 통신·의료·교육 등 분야의 시범개방 확대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중국국제수입박람회, 중국수출입상품교역회 등과 같은 주요 전시회를 수준 높게 개최할 계획이다.
더불어 신기술·신제품·신서비스의 대규모 응용 시범사업을 전개하고 상업용 우주항공, 저고도 경제(低空經濟), 심해과학기술 등 신흥 산업의 건전한 성장을 추진하며 바이오 제조, 양자과학기술, 체화형 인공지능, 6G 등의 미래 산업을 육성하고 ‘인공지능+’ 등의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갈 방침이다.
중국과 한국은 서로 중요한 협력 파트너이자 글로벌 산업 공급망의 핵심 국가로 양국 간의 경제 협력은 깊이 융합되어 있고 협력 전망도 매우 밝다. 지난 해 중한 무역은 역풍 속에서도 328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한국은 계속해서 흑자를 유지했다. 올해 1~2월 중한 무역액은 467억 달러(대한국 수출 206억 달러, 대한국 수입 261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1월 한국의 대중국 실질 투자액은 104.3% 급증했다. 이를 통해 양국 경제 협력의 기반이 여전히 견고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광주시는 인공지능 허브도시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중국 인공지능 산업도 급성장하여 양측 협력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 한편 전라남도는 산업 인프라가 탄탄하고 대중 경제 협력이 활발하며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에 이미 많은 중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중국은 다년 간 전라남도의 최대 수출 대상국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오늘날의 세계는 변화와 혼란이 얽혀 있고 무역전쟁과 관세전쟁으로 인해 세계 경제에 먹구름이 짙게 드리워져 있으며 인류의 운명은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 중국과 한국은 일의대수(一衣帶水·옷의 띠만큼 좁은 강)의 가까운 이웃이며 수천년 간의 역사 문화를 함께 해왔다. 역사와 문화의 연원과 현실적 협력의 수요는 양국의 운명을 단단히 묶고 있으며 중한 양국이 마음을 합쳐 함께 협력해야만 상생할 수 있다. 올해와 내년 한중 양국이 APEC 회의를 잇따라 주최할 예정으로 양국은 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서로 지지한다는 중요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는 향후 양국의 중요한 고위급 교류와 양자 관계 발전을 이끄는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중국 속담에 ‘친척은 자주 만나야 친해지고 친구는 자주 만나야 가까워진다’라는 말이 있다. 지난해 중국은 한국에 대해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면서 많은 한국 관광객들의 중국 여행 열풍이 일고 있다. 호남지역 친구들도 중국에 더 많이 가서 직접 보고 중국 사회의 발전을 몸소 느끼며 실질적인 행동을 통해 중한 우호 협력에 기여해주길 희망한다.
지난 한 해, 중국 경제는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해 왔으며 국내총생산은 134.9조 위안에 달하고 경제성장률은 5%를 기록했다. 중국 경제의 녹색적인 전환은 더욱 굳건해져 신에너지 자동차의 연간 생산량은 1300만 대를 돌파했고 재생에너지 신규 설비용량은 3.7억㎾에 이르렀으며 연간 대기질 우수 일수 비율은 87.2%로 상승했다.
중국과 한국은 서로 중요한 협력 파트너이자 글로벌 산업 공급망의 핵심 국가로 양국 간의 경제 협력은 깊이 융합되어 있고 협력 전망도 매우 밝다. 지난 해 중한 무역은 역풍 속에서도 328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한국은 계속해서 흑자를 유지했다. 올해 1~2월 중한 무역액은 467억 달러(대한국 수출 206억 달러, 대한국 수입 261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1월 한국의 대중국 실질 투자액은 104.3% 급증했다. 이를 통해 양국 경제 협력의 기반이 여전히 견고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광주시는 인공지능 허브도시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중국 인공지능 산업도 급성장하여 양측 협력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 한편 전라남도는 산업 인프라가 탄탄하고 대중 경제 협력이 활발하며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에 이미 많은 중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중국은 다년 간 전라남도의 최대 수출 대상국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오늘날의 세계는 변화와 혼란이 얽혀 있고 무역전쟁과 관세전쟁으로 인해 세계 경제에 먹구름이 짙게 드리워져 있으며 인류의 운명은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 중국과 한국은 일의대수(一衣帶水·옷의 띠만큼 좁은 강)의 가까운 이웃이며 수천년 간의 역사 문화를 함께 해왔다. 역사와 문화의 연원과 현실적 협력의 수요는 양국의 운명을 단단히 묶고 있으며 중한 양국이 마음을 합쳐 함께 협력해야만 상생할 수 있다. 올해와 내년 한중 양국이 APEC 회의를 잇따라 주최할 예정으로 양국은 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서로 지지한다는 중요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는 향후 양국의 중요한 고위급 교류와 양자 관계 발전을 이끄는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중국 속담에 ‘친척은 자주 만나야 친해지고 친구는 자주 만나야 가까워진다’라는 말이 있다. 지난해 중국은 한국에 대해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면서 많은 한국 관광객들의 중국 여행 열풍이 일고 있다. 호남지역 친구들도 중국에 더 많이 가서 직접 보고 중국 사회의 발전을 몸소 느끼며 실질적인 행동을 통해 중한 우호 협력에 기여해주길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