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제동원 생존자 640명으로 급감…광주·전남은 77명
2025년 03월 03일(월) 19:50 가가
시민모임 “기억 계승 노력 필요”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가운데 생존자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 기준 국내 전체 904명으로 처음으로 1000명 아래로 내려갔지만, 1년만에 640명까지 감소했다. 광주·전남 생존자는 77명(광주 22명, 전남 55명)으로 1년(지난해 광주·전남 110명) 사이 33명이 숨졌다.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시민모임)은 올해 1월 기준 국외 강제동원 생존자는 640명으로 확인됐다고 3일 밝혔다.
이는 행정안전부의 국외 강제동원 피해 생존자 의료지원금 지급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로, 정부는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국외 강제동원 피해 생존자에게 매년 80만 원의 의료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2023년 생존자는 1264명이었지만, 지난해 904명으로 감소했고 올해 1월까지 264명의 피해자가 노환으로 숨을 거뒀다. 광주·전남 강제노역 피해자 생존자 수는 2021년 291명(광주 67명·전남 224명)→2022년 228명(광주50명·전남 178명)→2023년 150명(광주34명·전남 116명) 으로 감소하고 있다.
의료 지원 수급자는 2011년 2만 365명에서 꾸준히 감소하다가 지난해 904명으로 처음으로 1000명 아래로 떨어졌고, 올해는 전년 대비 30% 더 줄어들며 640명을 기록했다.
시민모임은 “광복 80주년을 맞은 것을 감안하면 향후 몇 년 안에 대부분의 피해 생존자가 남아있지 않을 것”이라며 “역사적 경험을 공유한 한 세대가 저물고 있는 상황에서 일제로부터 겪은 피해 사실과 역사적 증거를 어떻게 기억하고 계승할 것인가가 새로운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단체는 이어 “역사적 진실이 다음 세대에 제대로 전승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강제동원 피해 조사작업, 기록물 수집, 역사관 건립, 추모 공간 조성 등 다각적인 기억 계승 노력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지난해 2월 기준 국내 전체 904명으로 처음으로 1000명 아래로 내려갔지만, 1년만에 640명까지 감소했다. 광주·전남 생존자는 77명(광주 22명, 전남 55명)으로 1년(지난해 광주·전남 110명) 사이 33명이 숨졌다.
이는 행정안전부의 국외 강제동원 피해 생존자 의료지원금 지급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로, 정부는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국외 강제동원 피해 생존자에게 매년 80만 원의 의료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2023년 생존자는 1264명이었지만, 지난해 904명으로 감소했고 올해 1월까지 264명의 피해자가 노환으로 숨을 거뒀다. 광주·전남 강제노역 피해자 생존자 수는 2021년 291명(광주 67명·전남 224명)→2022년 228명(광주50명·전남 178명)→2023년 150명(광주34명·전남 116명) 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 단체는 이어 “역사적 진실이 다음 세대에 제대로 전승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강제동원 피해 조사작업, 기록물 수집, 역사관 건립, 추모 공간 조성 등 다각적인 기억 계승 노력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