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매입한다
2025년 02월 19일(수) 20:10 가가
악성 미분양 주택 사들여 전세로 내놓을 듯
정부가 지방에 쌓여있는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를 직접 매입하기로 했다. 매입 규모는 전국 3000호 수준으로, 정부가 직접 미분양 아파트 매입에 나선 건 2010년 이후 처음이다.
정부는 19일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발표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미분양 매입 계획을 내놨다. 다 지었는데도 팔리지 않은 준공 후 미분양이 11년 만에 최대치로 쌓이면서 지방 건설경기 침체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와 전남의 아파트 미분양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해 말 기준 광주지역 미분양 주택은 전달과 같은 1241가구에 이른다. 악성이라고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또한 전달과 같은 415가구로 전혀 해소되지 않았다. 전남은 더욱 심각하다. 전남의 경우 미분양 3598가구, 준공후 미분양 2450가구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LH는 2008∼2010년 준공 후 미분양이 5만가구 수준일 때 7058가구를 매입한 사례가 있다. 당시에는 미분양 주택의 대부분을 분양가의 70% 이하에 매입했다. 광주와 전남에서도 당시 LH의 전신인 대한주택공사가 광주시 남구와 무안의 일부 미분양 아파트를 매입해 전세로 전환, 분양한 바 있다.
정부는 분양가보다 낮은 수준으로 지방 미분양을 매입할 계획이며, 매입한 주택은 ‘든든전세주택’으로 활용한다.
LH의 지방 미분양 매입 때는 기존에 편성된 기축 매입임대주택 확보 예산 3000억원가량을 활용하기 때문에 추가로 투입되는 예산은 없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정부는 19일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발표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미분양 매입 계획을 내놨다. 다 지었는데도 팔리지 않은 준공 후 미분양이 11년 만에 최대치로 쌓이면서 지방 건설경기 침체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LH의 지방 미분양 매입 때는 기존에 편성된 기축 매입임대주택 확보 예산 3000억원가량을 활용하기 때문에 추가로 투입되는 예산은 없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