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환율에 안 오른 게 없다…서민들 삶 갈수록 ‘팍팍’
2025년 02월 13일(목) 19:35 가가
맛김 22%·김치 17%↑…지난달 가공식품 1년만에 최대폭 상승
광주 참기름 1년전보다 8.0%·간장, 식용유 등도 7~8%대 폭등
12개 물가지수 모두 1년전보다 크게 올라…금로자 임금은 제자리
광주 참기름 1년전보다 8.0%·간장, 식용유 등도 7~8%대 폭등
12개 물가지수 모두 1년전보다 크게 올라…금로자 임금은 제자리
지난달 고물가·고환율이 장기화되면서 농축수산물, 공업제품, 전기·가스·수도 등 에너지, 서비스까지 모든 영역에서 물가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업제품 중 가공식품 물가는 고물가에 더불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급격히 오른 환율에 원자재 값까지 뛰면서 1년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처럼 사회 모든 분야에서 물가는 끝없이 오르는 가운데, 임금근로자들의 임금은 1년전보다 4%가량 오르는데 그치면서 서민들이 먹고 살기는 더 퍽퍽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1월 소비자물가 동향’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2% 올랐다. 품목성질별로 전기·가스·수도(3.1%)와 서비스(2.3%) 분야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폭을 웃돌았고, 공업제품(2.2%), 농축수산물(1.9%)도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했다.
지난해부터 과일류, 채소류를 중심으로 높은 물가를 기록했던 농산물은 1년전보다 0.6% 오르는데 그쳤지만, 축산물(3.7%), 수산물(2.6%)은 큰 폭으로 상승했다.
특히 공업제품에서는 가공식품 물가지수가 122.03으로 전년 동월보다 2.7% 올랐다. 이는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큰 상승폭으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까지 2.0% 이하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준에 머물렀지만, 지난해 말 비상계엄 사태 이후 고물가에 더불어 고환율까지 겹치며 상승률이 크게 뛰었다.
가공식품 품목별로는 오징어채(22.9%)가 1년새 가장 많이 뛰었다. 이어 맛김(22.1%), 김치(17.5%), 시리얼(14.7%) 순으로 많이 올랐다.
이 밖에도 각종 가공식품에 필수적인 양념류 등의 물가 상승폭도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격조사기관 한국물가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광주지역 참기름 가격은 320㎖ 기준 1만 145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8.0% 올랐다. 이 밖에 간장과 식용유 등도 7~8%대 상승폭을 보였다.
특히 밀가루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곡물수입이 제한되면서,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물가지수가 137.43을 기록하는 등 높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 말 이후 원-달러 환율이 급등함에 따라 수입산 원자재 가격이 뛰면서 각종 프랜차이즈에서 밀가루를 사용하는 비스킷(7.0%), 케이크(3.3%) 등 가공식품 물가도 가파르게 치솟고 있는 상황이다.
지출목적별 분류로 보면 12개 물가지수 모두 1년전보다 상승했다. 물가가 오르지 않은 항목이 없는 셈이다.
기타 상품 및 서비스가 3.9%로 가장 상승폭이 컸고, 교통(3.3%), 음식 및 숙박(3.0%),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2.4%) 등 순이었다. 이외에도 교육(2.1%), 오락 및 문화(2.1%), 보건(1.4%) 등 모든 분야에서 물가가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사회 전반에서 물가가 끝없이 오르는 가운데, 통계청에 따르면 임금근로자들의 월 평균 임금은 지난해 6~8월 3개월간 평균을 기준으로 4.0%가량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를 연령별로 보면 20대는 지난해 평균 임금이 234만원으로 전년 동기(230만 3000원) 대비 3만 7000원(1.6%) 오르는데 그쳤다. 이어 70대(2.2%), 80대(2.6%), 50대(3.7%), 30대(3.9%) 등 순으로 나타났다.
임금 상승폭이 가장 낮았던 20대의 경우 경제적 기반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임금 상승폭마저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인 셈이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특히 공업제품 중 가공식품 물가는 고물가에 더불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급격히 오른 환율에 원자재 값까지 뛰면서 1년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1월 소비자물가 동향’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2% 올랐다. 품목성질별로 전기·가스·수도(3.1%)와 서비스(2.3%) 분야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폭을 웃돌았고, 공업제품(2.2%), 농축수산물(1.9%)도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했다.
특히 공업제품에서는 가공식품 물가지수가 122.03으로 전년 동월보다 2.7% 올랐다. 이는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큰 상승폭으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가공식품 품목별로는 오징어채(22.9%)가 1년새 가장 많이 뛰었다. 이어 맛김(22.1%), 김치(17.5%), 시리얼(14.7%) 순으로 많이 올랐다.
이 밖에도 각종 가공식품에 필수적인 양념류 등의 물가 상승폭도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격조사기관 한국물가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광주지역 참기름 가격은 320㎖ 기준 1만 145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8.0% 올랐다. 이 밖에 간장과 식용유 등도 7~8%대 상승폭을 보였다.
특히 밀가루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곡물수입이 제한되면서,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물가지수가 137.43을 기록하는 등 높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 말 이후 원-달러 환율이 급등함에 따라 수입산 원자재 가격이 뛰면서 각종 프랜차이즈에서 밀가루를 사용하는 비스킷(7.0%), 케이크(3.3%) 등 가공식품 물가도 가파르게 치솟고 있는 상황이다.
지출목적별 분류로 보면 12개 물가지수 모두 1년전보다 상승했다. 물가가 오르지 않은 항목이 없는 셈이다.
기타 상품 및 서비스가 3.9%로 가장 상승폭이 컸고, 교통(3.3%), 음식 및 숙박(3.0%),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2.4%) 등 순이었다. 이외에도 교육(2.1%), 오락 및 문화(2.1%), 보건(1.4%) 등 모든 분야에서 물가가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사회 전반에서 물가가 끝없이 오르는 가운데, 통계청에 따르면 임금근로자들의 월 평균 임금은 지난해 6~8월 3개월간 평균을 기준으로 4.0%가량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를 연령별로 보면 20대는 지난해 평균 임금이 234만원으로 전년 동기(230만 3000원) 대비 3만 7000원(1.6%) 오르는데 그쳤다. 이어 70대(2.2%), 80대(2.6%), 50대(3.7%), 30대(3.9%) 등 순으로 나타났다.
임금 상승폭이 가장 낮았던 20대의 경우 경제적 기반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임금 상승폭마저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인 셈이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