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전남도, 대설·한파 총력대응키로
2025년 02월 07일(금) 20:30 가가
광주·전남지역 주말까지 강한 추위와 많은 눈 예보돼
도로 제설 우선에 한파 쉼터·한파 응급 대피소 운영도
도로 제설 우선에 한파 쉼터·한파 응급 대피소 운영도
광주와 전남에 닷새째 강한 추위와 많은 눈이 내리면서 광주시와 전남도가 시·도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광주·전남지역에 주말까지 최대 20cm 이상의 눈이 더 내릴 것으로 예보됨에 따라 한파·폭설에 대한대비 태세에 나섰다.
7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이날부터 8일까지 광주·전남지역은 강한 추위와 함께 많은 눈이 내려 5~20㎝의 눈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이날 오후 고광완 행정부시장 주재로 시청 재난상황실에서 협업 부서와 5개 자치구 합동으로 ‘재난안전대책본부 긴급 상황판단회의’를 열고 각 분야별 대책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대설과 한파에 대응해 시와 자치구에서 우선 추진해야 할 분야별 대책들을 점검하고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기로 했다. 또한, 간선도로에 대한 제설 뿐 아니라 주택가 이면도로에 대한 제설 대책도 논의했다.
광주시는 자치구 등과 함께 광주지역 525개 노선 680㎞에 이르는 제설 우선 구간에 대해서도 밤새 제설작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밖에 제설 민원처리반을 운영해 제설이 미흡한 구간은 별도로 제설을 실시할 예정이다.
특히 최저 기온이 크게 낮아지는 점을 고려해 노숙인·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 대책도 철저히 추진하기로 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도 이날 대설·한파 대비 대책회의를 열고 도로 제설·취약계층 한파 피해 등 분야별 상황을 점검하고 장기 폭설·한파 대비 대책 수립·점검을 지시했다.
전남도는 지난 3일부터 시작된 대설·한파에 대처하기 위해 도내 도로 1860개 노선, 2만1280㎞에 장비 999대, 인원 2068명을 투입해 염화칼슘, 소금 등 제설제를 살포하는 등 제설작업을 추진했다.
또한 작물별로 사전 대응토록 하고, 저수온 종합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며 양식장 관리에도 힘쓰고 있다.
독거노인과 취약계층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파 쉼터를 운영하고, 난방비 지원과 안부 확인 등 복지 서비스를 한층 강화했다. 필요시 한파 응급 대피소를 운영하는 등 기상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김영록 지사는 “5일째 대설·한파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장기 폭설·한파에 대비한 대책을 확실하게 수립해 점검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특히 광주·전남지역에 주말까지 최대 20cm 이상의 눈이 더 내릴 것으로 예보됨에 따라 한파·폭설에 대한대비 태세에 나섰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이날 오후 고광완 행정부시장 주재로 시청 재난상황실에서 협업 부서와 5개 자치구 합동으로 ‘재난안전대책본부 긴급 상황판단회의’를 열고 각 분야별 대책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대설과 한파에 대응해 시와 자치구에서 우선 추진해야 할 분야별 대책들을 점검하고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기로 했다. 또한, 간선도로에 대한 제설 뿐 아니라 주택가 이면도로에 대한 제설 대책도 논의했다.
![]() ![]() |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7일 도청 재난종합상황실에서 실·국장 및 영상으로 연결된 시군 부단체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설·한파 대비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전남도청 제공 |
전남도는 지난 3일부터 시작된 대설·한파에 대처하기 위해 도내 도로 1860개 노선, 2만1280㎞에 장비 999대, 인원 2068명을 투입해 염화칼슘, 소금 등 제설제를 살포하는 등 제설작업을 추진했다.
또한 작물별로 사전 대응토록 하고, 저수온 종합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며 양식장 관리에도 힘쓰고 있다.
독거노인과 취약계층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파 쉼터를 운영하고, 난방비 지원과 안부 확인 등 복지 서비스를 한층 강화했다. 필요시 한파 응급 대피소를 운영하는 등 기상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김영록 지사는 “5일째 대설·한파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장기 폭설·한파에 대비한 대책을 확실하게 수립해 점검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