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복지 정책 강화…청년이 살고싶은 광주 만든다
2025년 01월 12일(일) 20:05 가가
구직수당 300만원으로 확대…일자리스테이션 대상 늘려
청년 일자리공제 200→500명…중기 재직자 장기근속 유도
광주 3일 살기 첫선…무주택 청년 임차료 최대 24개월 지원
청년 일자리공제 200→500명…중기 재직자 장기근속 유도
광주 3일 살기 첫선…무주택 청년 임차료 최대 24개월 지원


광주시가 청년 일자리와 자립·정착 지원을 위한 복지 정책을 강화한다. 사진은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해 7월 22일 서구 광주청년일자리스테이션 상무센터에서 열린 39번째 월요대화에 참석해 ‘중소기업은 살리고, 청년은 머무르고’를 주제로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습. <광주시 제공>
광주시가 청년 일자리와 자립·정착 지원을 위한 복지 정책을 강화한다.
12일 광주시에 따르면 올해부터 ‘청년이 일하기 좋고, 정착하고 싶은 광주’을 목표로 구직활동 수당(드림 수당) 확대, 광주형 청년 일자리 공제 확대, 청년 월세 특별지원 등에 나선다.
가장 먼저 지역 청년들의 구직활동 수당을 기존 250만원에서 300만원(50만원씩 6개월)으로 확대한다. 청년의 직무 적성을 반영한 일 경험 드림 사업은 기존 주 25시간 5개월 근무에서 원하면 주 40시간 3개월까지 선택할 수 있다.
미취업 청년의 초기 상담과 취업·창업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일자리 스테이션은 대상자를 7000명에서 8000명으로 늘린다.
또 직장 적응 교육을 통해 입사 초기 청년이 직장에 빠르게 적응하고 장기 근속하도록 지원한다.
청년들이 구직 활동 시 경제적 부담을 덜도록 자격증 취득 지원, 면접 정장 대여, 이력서 사진 촬영, 인공지능(AI) 모의 면접 프로그램 운영 등을 무료로 제공한다.
구직 단념 청년과 자립 준비 청년 등에게 맞춤형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50만원에서 최대 350만원까지 참여 수당과 특전을 지급하는 청년 도전 지원사업을 180명 대상으로 추진한다.
지역 청년의 자립과 정착을 위한 주거·복지 지원도 함께 추진한다.
정부의 청년 공제 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이를 보완하고자 도입한 ‘광주형 청년 일자리 공제’를 200명에서 올해 500명으로 확대한다.
이 사업은 5인 이상 중소기업 재직 청년의 장기근속을 유도하도록 청년이 2년간 500만원을 모으면 광주시와 기업이 500만원을 지원해 만기 공제금 1000만원을 지급한다.
620명을 대상으로 월 10만원씩 10개월 저축하면 광주시에서 100만원을 지원하는 청년13(일+삶)통장을 운영해 맞춤형 금융교육을 제공한다.
청년 월세 특별지원을 통해 독립 거주 무주택 청년에게 월 20만원 임차료를 최대 24개월까지 지원한다.
주택 임차보증금 대출 이자 역시 연 2.5% 중 2%를 최대 4년까지 5억 5000만원 예산 범위에서 지원한다.
청년 부채 해소를 위해 청년재무상담소(드림은행)를 운영하고 연 9000여명에 달하는 군 복무 청년 상해보험(최대 3000만원 지급) 사업도 계속 추진한다.
청년들이 광주의 문화시설과 축제에 참여하며 지역의 매력을 느끼고 교류하는 3일 살기 프로그램 ‘청년, 광주 어때’ 운영도 시작한다.
광주시는 청년들이 지원 정책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홍보를 강화할 방침이다.
김기숙 광주시 교육청년국장은 “어려운 재정 여건에도 청년들의 취업과 복지 지원을 위해 각종 정책을 확대하고 개선했다”며 “청년 만족도를 높이는 정책을 펼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12일 광주시에 따르면 올해부터 ‘청년이 일하기 좋고, 정착하고 싶은 광주’을 목표로 구직활동 수당(드림 수당) 확대, 광주형 청년 일자리 공제 확대, 청년 월세 특별지원 등에 나선다.
미취업 청년의 초기 상담과 취업·창업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일자리 스테이션은 대상자를 7000명에서 8000명으로 늘린다.
또 직장 적응 교육을 통해 입사 초기 청년이 직장에 빠르게 적응하고 장기 근속하도록 지원한다.
구직 단념 청년과 자립 준비 청년 등에게 맞춤형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50만원에서 최대 350만원까지 참여 수당과 특전을 지급하는 청년 도전 지원사업을 180명 대상으로 추진한다.
정부의 청년 공제 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이를 보완하고자 도입한 ‘광주형 청년 일자리 공제’를 200명에서 올해 500명으로 확대한다.
이 사업은 5인 이상 중소기업 재직 청년의 장기근속을 유도하도록 청년이 2년간 500만원을 모으면 광주시와 기업이 500만원을 지원해 만기 공제금 1000만원을 지급한다.
620명을 대상으로 월 10만원씩 10개월 저축하면 광주시에서 100만원을 지원하는 청년13(일+삶)통장을 운영해 맞춤형 금융교육을 제공한다.
청년 월세 특별지원을 통해 독립 거주 무주택 청년에게 월 20만원 임차료를 최대 24개월까지 지원한다.
주택 임차보증금 대출 이자 역시 연 2.5% 중 2%를 최대 4년까지 5억 5000만원 예산 범위에서 지원한다.
청년 부채 해소를 위해 청년재무상담소(드림은행)를 운영하고 연 9000여명에 달하는 군 복무 청년 상해보험(최대 3000만원 지급) 사업도 계속 추진한다.
청년들이 광주의 문화시설과 축제에 참여하며 지역의 매력을 느끼고 교류하는 3일 살기 프로그램 ‘청년, 광주 어때’ 운영도 시작한다.
광주시는 청년들이 지원 정책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홍보를 강화할 방침이다.
김기숙 광주시 교육청년국장은 “어려운 재정 여건에도 청년들의 취업과 복지 지원을 위해 각종 정책을 확대하고 개선했다”며 “청년 만족도를 높이는 정책을 펼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