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전력망 확충 주력…재생에너지 공급 개선되나
2025년 01월 07일(화) 20:50 가가
오늘 전력계통위원회 첫 회의 개최…전력설비 지연 해결 방안 모색
수도권 송전선로 구축 난항에 전남 여유 재생에너지 전력 수급 지연
수도권 송전선로 구축 난항에 전남 여유 재생에너지 전력 수급 지연
한국전력공사(한전)가 올해 ‘전력망 확충’에 주력하기로 하면서, 송변전 설비 건설이 지연되는 등 국가 전력망 확충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을지 눈길이 쏠린다. 한전은 재생에너지 전력 생산량이 가장 많은 전남의 전력을 수도권에 공급하기 위한 송전선로 건설사업 등 전국 송변전 건설 사업이 지역 내 시설물 건축을 반대하는 지역민 등의 반대에 부딪혀 장기간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계통위원회를 신설하고, 주민 수용성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지역민 보상 방안 등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7일 한전에 따르면 한전은 오는 8일 ‘제 1회 전력계통위원회 회의’를 열고, 송·배전 건설 사업 등의 전력망 설비 확충이 지연되는 등 전력설비 수용성 문제 해결을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
앞서 한전은 ‘제 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을 수립하고, 56조 5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오는 2036년까지 송전선로를 60%, 변전소는 40% 확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동철 한전 사장 역시 지난 2일 신년사를 통해 올해 한전의 최우선 목표로 ‘재무 정상화’와 더불어 ‘전력망 확충’을 꼽았다. 김 사장은 이를 위해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국가기간전력망확충특별법’의 신속한 제정을 위해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해 한전은 전력망 확충 계획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자 10여년간 동결했던 송·변전 설비 인근 지역 지원금을 18.5% 인상하고, 지난해 11월에는 전력망 확충을 위한 ‘전사 다짐대회’를 열기도 했다.
하지만 여전히 송·변전 설비 건설 등 전력망 확충 사업들은 난항을 겪고 있다. 국가 산업단지 조성 등에 발맞춰 전남의 신재생에너지 등 여유 전력을 수도권으로 송전하기 위해 진행한 송전선로 확충 사업 등이 지역민들의 반대 및 지자체의 인허가 지연 등으로 지연되면서 전력 수급 계획이 틀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신재생에너지 자급률이 전국에서 최상위권 수준인 전남의 경우 지난해 지역민의 반발로 인해 ‘영암군 154kV 시종변전소 및 관련 송전선로 건설’ 사업이 27개월, ‘보성군 154kV 득량변전소 및 관련 송전선로 건설’ 사업은 45개월 지연된 바 있다. 이 밖에도 장성, 영광 등지의 송전선로 건설 사업들도 각각 21개월, 8개월 지연되기도 했다.
송변전 시설 건설사업이 전국 각지에서 기존 계획보다 지연되는 사례가 전국에서 잇따르면서, 한전은 지난해 사내에 전력계통위원회를 신설했다.
전력계통위원회는 전력 설비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는 정책과 전력망을 적기·조기에 확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역할을 맡았다. 이에 따라 그동안 전력망 확충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주민들의 반발을 잠재울 수 있는 현실적인 보상 및 지원 확대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 여부가 주목된다.
한편, 전력계통위원회는 한전 전력계통부사장을 위원장으로 9명 이상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분기별 1회 시행될 계획이다. 이번 전력계통위원회 첫 회의는 지난해 연말 위원회 산하 실무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확정됐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김동철 한전 사장 역시 지난 2일 신년사를 통해 올해 한전의 최우선 목표로 ‘재무 정상화’와 더불어 ‘전력망 확충’을 꼽았다. 김 사장은 이를 위해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국가기간전력망확충특별법’의 신속한 제정을 위해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여전히 송·변전 설비 건설 등 전력망 확충 사업들은 난항을 겪고 있다. 국가 산업단지 조성 등에 발맞춰 전남의 신재생에너지 등 여유 전력을 수도권으로 송전하기 위해 진행한 송전선로 확충 사업 등이 지역민들의 반대 및 지자체의 인허가 지연 등으로 지연되면서 전력 수급 계획이 틀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신재생에너지 자급률이 전국에서 최상위권 수준인 전남의 경우 지난해 지역민의 반발로 인해 ‘영암군 154kV 시종변전소 및 관련 송전선로 건설’ 사업이 27개월, ‘보성군 154kV 득량변전소 및 관련 송전선로 건설’ 사업은 45개월 지연된 바 있다. 이 밖에도 장성, 영광 등지의 송전선로 건설 사업들도 각각 21개월, 8개월 지연되기도 했다.
송변전 시설 건설사업이 전국 각지에서 기존 계획보다 지연되는 사례가 전국에서 잇따르면서, 한전은 지난해 사내에 전력계통위원회를 신설했다.
전력계통위원회는 전력 설비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는 정책과 전력망을 적기·조기에 확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역할을 맡았다. 이에 따라 그동안 전력망 확충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주민들의 반발을 잠재울 수 있는 현실적인 보상 및 지원 확대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 여부가 주목된다.
한편, 전력계통위원회는 한전 전력계통부사장을 위원장으로 9명 이상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분기별 1회 시행될 계획이다. 이번 전력계통위원회 첫 회의는 지난해 연말 위원회 산하 실무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확정됐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