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잠룡’ 민주 이재명 독주·국힘 안갯속
2024년 12월 15일(일) 20:10 가가
민주, 이대표 재판 변수…김동연·김경수·김부겸 주목
국힘, 한동훈 여론조사 앞서…오세훈·홍준표 대항마 거론
국힘, 한동훈 여론조사 앞서…오세훈·홍준표 대항마 거론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에 따라 대권 구도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일단 여권의 ‘잠룡’들은 현직 대통령 탄핵이라는 핸디캡을 안고 경쟁해야 하는 불리한 처지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탄핵으로 여권에 대한 민심도 싸늘한 상황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여권의 누구도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경쟁력이 있는 마땅한 후보도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나마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여론조사 지표 등을 볼 때 가장 앞서 있는 대권주자로 꼽힌다.
지난 7월 당 대표 선출 전당대회에서 62.8%를 득표했고, 최근 대권주자 선호도 여론조사에서 여권 정치인 중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인다.
한 대표의 대권 도전에 중요한 변수는 윤 대통령과 어떻게 차별화할지, 그리고 탄핵에 공개적으로 찬성한 한 대표가 보수층 일각의 반감을 극복하고 이들을 끌어안아 중도 확장성을 보일지다.
한 대표는 계엄·탄핵 국면에서 윤 대통령을 강도 높게 비판하고, 제명·출당까지 추진했는데, 이 과정에서 보인 언행이 당내 주류인 영남·친윤(친윤석열)·중진 의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했다.
이에 탄핵 정국에서 선명한 목소리를 내온 오세훈 서울시장과 홍준표 대구시장이 주류의 지지를 등에 업고 ‘대항마’로 나설 것이라는 시각이 있다.
오 시장은 애초 탄핵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으나, 막판에 “윤 대통령이 탄핵소추를 통해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탄핵에 반대하던 홍 시장은 탄핵에 찬성한 한 대표를 향한 비판을 이어가며 보수층 결집에 나선 모습이다.
윤석열 정부를 꾸준히 비판해 온 안철수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 그리고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도 중도층으로의 확장성을 내세워 대권에 도전할 수 있다.
야권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소추를 계기로 지난 대선 경쟁자였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독주 체제가 사실상 굳어지는 분위기다.
윤 대통령이 파면되면 22대 국회 들어 더욱 공고해진 친명(친이재명) 체제를 바탕으로 조기 대선 준비에도 한발 앞설 수 있다.
민주당이 지난 10월 ‘집권플랜본부’를 꾸려 국정 분야별 비전 발굴에 착수하겠다고 나서자 정치권에서는 ‘이 대표가 대선 준비에 들어갔다’는 해석이 나왔다.
다만 이 같은 독주 체제가 역으로 당내에서 집중적인 견제를 받을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
특히 이 대표의 대권 가도에는 ‘사법 리스크’가 가장 큰 변수다. 지난달 1심에서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의 2심이 속도를 내고 재차 유죄 판결로 이어질 경우 이 대표 독주 체제에 금이 갈 수 있다.
이 경우 ‘비명(비이재명)계 3김’으로 불리는 김동연 경기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주목받을 수 있다.
김 지사는 친문(친문재인) 등 비명계 인사를 두루 영입해 이들 중 조직력에서 앞선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재인 정부 마지막 총리인 김 전 총리와 친문계 핵심인 김 전 지사도 비명계 구심점을 자처할 가능성이 있다.
/오광록 기자 kroh@kr·연합뉴스
일단 여권의 ‘잠룡’들은 현직 대통령 탄핵이라는 핸디캡을 안고 경쟁해야 하는 불리한 처지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탄핵으로 여권에 대한 민심도 싸늘한 상황이다.
그나마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여론조사 지표 등을 볼 때 가장 앞서 있는 대권주자로 꼽힌다.
지난 7월 당 대표 선출 전당대회에서 62.8%를 득표했고, 최근 대권주자 선호도 여론조사에서 여권 정치인 중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인다.
한 대표의 대권 도전에 중요한 변수는 윤 대통령과 어떻게 차별화할지, 그리고 탄핵에 공개적으로 찬성한 한 대표가 보수층 일각의 반감을 극복하고 이들을 끌어안아 중도 확장성을 보일지다.
오 시장은 애초 탄핵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으나, 막판에 “윤 대통령이 탄핵소추를 통해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탄핵에 반대하던 홍 시장은 탄핵에 찬성한 한 대표를 향한 비판을 이어가며 보수층 결집에 나선 모습이다.
윤석열 정부를 꾸준히 비판해 온 안철수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 그리고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도 중도층으로의 확장성을 내세워 대권에 도전할 수 있다.
야권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소추를 계기로 지난 대선 경쟁자였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독주 체제가 사실상 굳어지는 분위기다.
윤 대통령이 파면되면 22대 국회 들어 더욱 공고해진 친명(친이재명) 체제를 바탕으로 조기 대선 준비에도 한발 앞설 수 있다.
민주당이 지난 10월 ‘집권플랜본부’를 꾸려 국정 분야별 비전 발굴에 착수하겠다고 나서자 정치권에서는 ‘이 대표가 대선 준비에 들어갔다’는 해석이 나왔다.
다만 이 같은 독주 체제가 역으로 당내에서 집중적인 견제를 받을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
특히 이 대표의 대권 가도에는 ‘사법 리스크’가 가장 큰 변수다. 지난달 1심에서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의 2심이 속도를 내고 재차 유죄 판결로 이어질 경우 이 대표 독주 체제에 금이 갈 수 있다.
이 경우 ‘비명(비이재명)계 3김’으로 불리는 김동연 경기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주목받을 수 있다.
김 지사는 친문(친문재인) 등 비명계 인사를 두루 영입해 이들 중 조직력에서 앞선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재인 정부 마지막 총리인 김 전 총리와 친문계 핵심인 김 전 지사도 비명계 구심점을 자처할 가능성이 있다.
/오광록 기자 kroh@kr·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