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교육관, 5·18기념재단이 맡는다
2024년 11월 27일(수) 21:30
공법단체 재공모 부적격으로 광주시 직영 1년만에 민간위탁 전환
시민사회 “교육관 원래 목적·취지 걸맞는 열린 공간으로 거듭나길”

<5·18교육재단>

광주시가 5·18민주화운동교육관 운영을 맡을 위탁기관으로 5·18기념재단을 선정했다.

기존 위탁기관인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 공로자회가 재공모 과정에서 ‘기준 미달’로 부적격 판정을 받으면서 교육관이 직영 체제로 전환된 뒤 1년 2개월만이다.

광주시는 5·18민주화운동교육관 운영 민간위탁 수탁기관 선정심의 결과 5·18기념재단을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5·18교육관은 오월 정신을 계승·발전시키고 민주주의, 인권, 시민공동체정신 등을 후세에 교육하기 위해 설립된 시설이다. 지난 2010년 광주시 서구 치평동에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세워져 대강의실, 중강의실, 세미나실, 생활관 등을 갖추고 있다.

민간 위탁은 ‘협상에 의한 계약’으로, 5·18기념재단은 업무 계획 등 협약을 거친 뒤 위탁 계약을 맺을 계획이다.

위탁 기간은 2025년 1월 1일부터 2027년 12월 31일까지 3년이다.

5·18기념재단은 5·18 관련 교육과 홍보사업 추진, 교육관 각종 시설 유지관리 및 주변 환경정리, 시설이용자 편의 제공 및 시설 이용료 수납관리 등 업무를 위탁받을 예정이다.

앞서 광주시는 지난해 10월부터 5·18교육관을 민간위탁 체제에서 직영 체제로 임시 전환했다.

지난해 초 운영 수탁기관 선정을 위해 두 차례에 걸쳐 공모를 했으나 심사 결과 적격 단체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면서다.

당초 5·18교육관은 민간위탁을 시작한 2014년부터 지난해 9월까지 ㈔5·18구속부상자회(현 5·18공로자회)에서 운영해 왔다. 5·18공로자회는 지난해 계약이 만료되자 부상자회와 함께 민간위탁 신청을 했지만, 기준 미달로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당시 두 공법단체는 5·18 가해자인 특전사 단체가 사죄 입장을 표명하지도 않았는데 졸속 화해를 추진하고, 회원·임원의 비리로 내홍을 겪었다. 지역 시민사회는 ‘교육관 운영 수탁 반대’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두 공법단체는 올해 민간위탁 공모에 신청서를 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광주시는 담당 공무원의 잦은 보직이동으로 5·18 교육 전문성을 확립하기 어렵다는 점, 재정 운영상 유연성이 부족한 점 등을 들어 교육관을 다시 민간위탁 체제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광주시는 “최종 2개 단체가 선정 심의를 받은 결과 5·18기념재단이 최종 선정돼 우선협상 대상자로 정해졌다”며 “업무 계획 등에 대한 협상을 세심하게 거쳐 최종 수탁기관 선정 여부를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 시민사회도 5·18기념재단의 교육관 운영에 대한 기대감을 비쳤다.

김순 오월정신지키기 범시도민대책위 집행위원장은 “5·18교육관이 오랫동안 제 기능을 못 하고 있던 상황에서 위탁 운영기관이 바뀐만큼 정상화에 대한 기대가 크다”며 “추후 교육관장을 공모하거나 운영·자문위원회 등을 신설하는 등 외부 전문가들과 광주 시민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교육관이 원래의 목적과 취지에 걸맞는 열린 공간이 되도록 이끌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