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처럼 … 광주·전남 초광역권 묶어 핵심 의제 해결
2024년 11월 26일(화) 19:30 가가
민주당, ‘호남 소외론’ 해소 위한 상생발전 특위 연내 구성
공항 이전·신산업 발전·에너지 고속도로 선도지역 구축 등
다양한 의제 논의…꽉 막힌 지역 현안 해결에 속도 붙을 듯
공항 이전·신산업 발전·에너지 고속도로 선도지역 구축 등
다양한 의제 논의…꽉 막힌 지역 현안 해결에 속도 붙을 듯
더불어민주당이 ‘광주·전남 상생 발전 태스크 포스(TF)’ 가동을 약속하면서 답보 상태에 머물렀던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등 지역 현안 해결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은 26일 광주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중앙당 차원의 민·군 공항 이전 등을 논의할 광주·전남 상생 발전 TF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김 최고위원은 “민주당은 집권 시 가장 중요한 국정 과제 중 하나를 ‘지방 부활’로 생각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민주당은 양부남 광주시당 위원장, 주철현 전남도당 위원장을 중심으로 이재명 대표, 사무총장 등과 TF 구성에 공감대를 형성했고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에게도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생 TF의 구체적 일정 등은 오는 12월 중에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광주·전남 부활을 위한 3대 사업으로 ▲에너지 고속도로 선도지역 구축 ▲광주·전남 통합 행정·신산업 발전 ▲민간·군 공항 이전 등을 광주·전남 TF의 핵심 의제로 내놓았다.
민주당은 특히 이재명 당 대표의 핵심공약이자 당 차원에서 역점으로 연구·추진하고 있는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등을 담은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 선도 지역으로 광주·전남을 최적지로 고려하고 있다는 게 김 최고위원의 설명이다.
민주당은 또 최근 다시 논의되고 있는 대구·경북,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와 같이 광주·전남을 하나의 초광역권 도시로 묶어 지원하는 방안도 구상하고 있다. 민주당은 이를 통해 광주·전남 민·군 공항 이전, AI(인공지능) 사업 등 중장기 과제 등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다.
민주당은 또 광주·전남 상생 발전 TF가 꾸려지면, 사안·사업의 경중이나 우선 순위를 떠나 지역 현안 해결 관련 다양한 의제를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오후 전남도청을 방문해서도 이같은 내용을 전달했다.
민주당 최고위원이 별다른 예고도 없이 광주·전남을 갑자기 찾아 TF 구성 등을 적극 밝히고 나선 것은 지역 내 ‘민주당의 호남 소외론’ 확산 등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윤석열 대통령의 광주·전남 대선 공약사업과 지역 현안 사업 상당수가 정부의 ‘호남 패싱’ 기조와 민주당의 무관심 등으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고, 민간·군 공항 이전 사업 역시 정부와 정치권의 외면 속에 광주·전남 간 갈등만 커지고 있는 게 현실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 정부와 여당 간 갈등의 골이 깊은 가운데 정부와 여당의 적극적인 도움이 없다면 민주당의 힘만으로 실현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자칫 민주당의 호남에 대한 정치적인 메시지로만 끝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현 정부 들어 광주는 야당 도시로 낙인 찍힌 탓에 각종 정부 관련 사업 등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상당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특히 (광주)시민들 사이에선 믿었던 민주당마저도 낙후한 광주 발전에 별다른 관심이 없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이제라도 민주당에서 광주·전남 발전을 위해 노력한다고 하니 실현 여부를 지켜 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당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한데, 극한 대립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현안 해결이 민주당만의 힘으로 가능할지는 불투명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은 26일 광주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중앙당 차원의 민·군 공항 이전 등을 논의할 광주·전남 상생 발전 TF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양부남 광주시당 위원장, 주철현 전남도당 위원장을 중심으로 이재명 대표, 사무총장 등과 TF 구성에 공감대를 형성했고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에게도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생 TF의 구체적 일정 등은 오는 12월 중에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특히 이재명 당 대표의 핵심공약이자 당 차원에서 역점으로 연구·추진하고 있는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등을 담은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 선도 지역으로 광주·전남을 최적지로 고려하고 있다는 게 김 최고위원의 설명이다.
민주당은 또 광주·전남 상생 발전 TF가 꾸려지면, 사안·사업의 경중이나 우선 순위를 떠나 지역 현안 해결 관련 다양한 의제를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오후 전남도청을 방문해서도 이같은 내용을 전달했다.
민주당 최고위원이 별다른 예고도 없이 광주·전남을 갑자기 찾아 TF 구성 등을 적극 밝히고 나선 것은 지역 내 ‘민주당의 호남 소외론’ 확산 등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윤석열 대통령의 광주·전남 대선 공약사업과 지역 현안 사업 상당수가 정부의 ‘호남 패싱’ 기조와 민주당의 무관심 등으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고, 민간·군 공항 이전 사업 역시 정부와 정치권의 외면 속에 광주·전남 간 갈등만 커지고 있는 게 현실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 정부와 여당 간 갈등의 골이 깊은 가운데 정부와 여당의 적극적인 도움이 없다면 민주당의 힘만으로 실현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자칫 민주당의 호남에 대한 정치적인 메시지로만 끝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현 정부 들어 광주는 야당 도시로 낙인 찍힌 탓에 각종 정부 관련 사업 등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상당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특히 (광주)시민들 사이에선 믿었던 민주당마저도 낙후한 광주 발전에 별다른 관심이 없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이제라도 민주당에서 광주·전남 발전을 위해 노력한다고 하니 실현 여부를 지켜 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당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한데, 극한 대립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현안 해결이 민주당만의 힘으로 가능할지는 불투명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