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병원 ‘중환자 중심 병원’으로 탈바꿈한다
2024년 11월 07일(목) 20:30 가가
보건부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사업 선정…중증질환 위주 진료체계 구축
병상 33개 감축·희귀질환 등 인상된 수가 적용…병원측 “차질없이 준비”
병상 33개 감축·희귀질환 등 인상된 수가 적용…병원측 “차질없이 준비”
조선대병원이 중증도와 난도가 높은 환자의 치료에 집중하는 ‘중환자 중심 병원’으로 탈바꿈한다.
7일 조선대병원에 따르면 조선대병원을 비롯한 전국 병원 13곳이 보건복지부가 이날 발표한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 3차 대상 병원에 포함됐다.
이 사업은 상급종합병원이 본래 역할에 맞게 중증도와 난도가 높은 환자의 치료에 집중함으로써 ‘중환자 중심 병원’으로 전환하고, 경증 환자는 지역 병·의원과 협력해 효율적으로 진료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구조를 전환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정부가 제시한 의료 개혁 1차 과제이기도 하다.
3차 선정평가 결과 조선대병원을 비롯해 강릉아산병원, 건국대병원, 건양대병원, 경상국립대병원, 고신대복음병원, 부산백병원, 순천향대부천병원, 영남대병원, 원광대병원, 원주세브란스병원, 이대목동병원, 충남대병원 등 13곳이 추가 선정됐다.
조선대병원은 지역 최초로 상급종합병원 지원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조선대병원은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을 위해 현재 713개 병상 가운데 33개 병상을 감축한다.
조선대병원측은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사업에 선정이 된 만큼, 정부시책에 맞춰서 차질 없이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선정 기관들은 안정적인 구조 전환이 가능하도록 중증·응급·희귀질환 진료에 대해 인상된 수가를 적용받고, 권역 내 협력 의료기관과 활발한 의뢰·회송을 통해 경증환자 진료를 줄여나가도록 유도한다. 정부는 성과를 평가해 추가 인센티브 보상을 한다.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이 경증환자 진료를 줄여 확보된 진료역량을 응급환자 대응에 활용할 수 있게 돼 응급실 미수용 문제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사업에 참여하는 상급종합병원의 구조 전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연간 3조 3000억원, 3년간 총 10조 원을 건강보험으로 지원한다. 이는 기존에 발표된 2028년까지 예정된 건강보험 ‘10조원 + α’투자와는 별개로 추가 지원하는 금액이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이날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이 중환자 중심 병원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구조 전환에 최선의 지원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내년에 전공의 수련환경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꼼꼼히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의료개혁 1차 실행방안을 발표할 당시 전공의 근무 시간을 주당 80시간에서 60시간으로, 연속근무 시간을 36시간에서 24시간으로 축소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내실 있는 수련을 받을 수 있도록 담당 전문의를 지정하고, ‘다기관 협력 수련모형 시범사업’을 통해 전공의들이 여러 종류의 의료기관에서 중증부터 경증까지 다양한 임상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수련수당 지원 대상은 기존 소아청소년과에서 산부인과, 내과, 외과, 응급의학과, 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등 8개 과목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7일 조선대병원에 따르면 조선대병원을 비롯한 전국 병원 13곳이 보건복지부가 이날 발표한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 3차 대상 병원에 포함됐다.
3차 선정평가 결과 조선대병원을 비롯해 강릉아산병원, 건국대병원, 건양대병원, 경상국립대병원, 고신대복음병원, 부산백병원, 순천향대부천병원, 영남대병원, 원광대병원, 원주세브란스병원, 이대목동병원, 충남대병원 등 13곳이 추가 선정됐다.
조선대병원은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을 위해 현재 713개 병상 가운데 33개 병상을 감축한다.
선정 기관들은 안정적인 구조 전환이 가능하도록 중증·응급·희귀질환 진료에 대해 인상된 수가를 적용받고, 권역 내 협력 의료기관과 활발한 의뢰·회송을 통해 경증환자 진료를 줄여나가도록 유도한다. 정부는 성과를 평가해 추가 인센티브 보상을 한다.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이 경증환자 진료를 줄여 확보된 진료역량을 응급환자 대응에 활용할 수 있게 돼 응급실 미수용 문제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사업에 참여하는 상급종합병원의 구조 전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연간 3조 3000억원, 3년간 총 10조 원을 건강보험으로 지원한다. 이는 기존에 발표된 2028년까지 예정된 건강보험 ‘10조원 + α’투자와는 별개로 추가 지원하는 금액이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이날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이 중환자 중심 병원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구조 전환에 최선의 지원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내년에 전공의 수련환경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꼼꼼히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의료개혁 1차 실행방안을 발표할 당시 전공의 근무 시간을 주당 80시간에서 60시간으로, 연속근무 시간을 36시간에서 24시간으로 축소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내실 있는 수련을 받을 수 있도록 담당 전문의를 지정하고, ‘다기관 협력 수련모형 시범사업’을 통해 전공의들이 여러 종류의 의료기관에서 중증부터 경증까지 다양한 임상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수련수당 지원 대상은 기존 소아청소년과에서 산부인과, 내과, 외과, 응급의학과, 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등 8개 과목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