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류인구 늘려 지역소멸 대안으로 활용을
2024년 11월 04일(월) 00:00
전남지역 인구감소 지자체들의 ‘체류인구’가 주민등록인구의 4.3배에 달하는 데다 그만큼 경제유발 효과도 큰 것으로 분석됐다. 결론적으로 지방의 인구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체류인구를 늘리는 것이 최적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심각한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출산을 기반으로 한 주민등록 인구를 늘리는 것이 해법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주민등록 인구를 늘리는 것은 한계가 있어 정부가 차선책으로 내놓은 것이 ‘생활 인구’ 늘리기 정책이다.

‘생활인구’는 기존 주민등록인구와 등록 외국인뿐만 아니라 월 1회 또는 하루 3시간 이상 해당 지역에서 체류하는 ‘체류인구’까지를 포함한 개념이다. 즉 출퇴근이나 통학, 휴양이나 관광을 목적으로 방문한 사람까지도 해당 지역 인구로 계산해 지방을 활성화하겠다는 복안이다. 이 같은 체류인구가 전남지역 16개 인구감소 지자체의 경우 무려 주민등록인구의 4.3배인 만큼, 체류인구를 증가시키는 것이 궁극적으로 지역 발전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소멸 위기를 벗어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입증하듯 전남지역 체류인구가 사용한 카드 사용액은 지역 전체 카드 사용액 가운데 무려 43%나 차지했다. 전남지역 체류자의 체류 기간이 평균 3.3일에 불과한 것을 고려하면 체류인구에 의한 유발효과가 그 지역의 경제를 좌우한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여기에 올 2분기 체류자들의 전남지역 재방문율과 숙박일 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은 점도 체류인구의 효과를 방증하고 있다.

체류인구의 증가가 경제 유발효과와 인구소멸 위기의 대안이라는 사실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다만 전남 방문객의 상당수가 당일치기나 거쳐가는 경우가 많은 만큼 숙박형 체류를 늘릴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