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되고 서비스 저하된 광주트라우마센터
2024년 10월 21일(월) 00:00 가가
광주 트라우마치유센터가 올여름 새롭게 시설을 마련하고 국립 센터로 출범했지만 이용자들은 오히려 지자체가 운영했을 때보다 불편하다는 입장이다. 새롭게 이전한 트라우마 센터의 위치가 예전에 비해 교통 접근성이 떨어져 버스를 타는 이용자들이 수차례 갈아타는 등 애를 먹고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개관직후는 점심도 제공되지 않는 등 무성의한 관리로 일관했다고 한다.
트라우마 치유센터는 광주시 서구 치평동 도시공사 건물에 세들어 있다가 화정동 옛 국군통합병원 인근 근린공원에 지상 3층 규모로 지난 7월1일 신축 개관했다. 이 센터 이용자는 5·18관련자 507명을 비롯 여순사건·부마항쟁 등 기타 국가폭력 피해자 752명 등 총 1259명에 달한다.
새로운 센터는 치유 및 상담 등 모든 프로그램을 한 공간에서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문제는 회원의 대다수가 고령자로 버스를 이용하는데 기존 센터에 비해 접근성이 너무 떨어진다는 것이다.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의 모티브가 된 문재학 열사의 어머니 김길자(85)씨는 고령일 뿐만 아니라 최근 낙상사고로 수술을 받은 상태인데, 트라우마 센터를 이용하려면 북구 신안동 집에서 출발해 서구 양동과 농성동에서 두 차례나 갈아 타야 하는 실정이다.
특히 환승하는 과정에 육교를 건너는 것은 물론 센터 앞 버스 정류장에 내려서도 200여m 골목길과 200여m 산길을 올라야 비로서 센터 건물로 들어설 수 있다고 한다. 김씨뿐만 아니라 북구 두암동이나 문흥동에 사는 고령의 회원들은 움직임이 자유스럽지 않아 아침에 버스를 탈 경우 두 시간 이상이 걸려 힘들기가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한다.
이곳의 이용자들은 모두 국가 폭력에 의해 신체적·정신적 후유증에 시달리는 너무나 딱한 사람들이다. 정부는 신속히 예산을 편성해 이용자 전용 셔틀버스를 제공하길 바란다.
새로운 센터는 치유 및 상담 등 모든 프로그램을 한 공간에서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문제는 회원의 대다수가 고령자로 버스를 이용하는데 기존 센터에 비해 접근성이 너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곳의 이용자들은 모두 국가 폭력에 의해 신체적·정신적 후유증에 시달리는 너무나 딱한 사람들이다. 정부는 신속히 예산을 편성해 이용자 전용 셔틀버스를 제공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