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 미스매칭 ‘아이돌봄’ 양성기관 확대해야
2024년 08월 21일(수) 00:00
맞벌이 가정 등 바쁜 부모들의 양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아이돌봄 서비스가 수요에 비해 공급 부족으로 효과를 제대로 내지 못하고 있다.

아이돌봄 서비스 대상은 돌봄 공백이 있는 가정의 만 12세 이하 아동으로 여성가족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으로 돌보미를 가정으로 파견하는 사업이다.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으로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정에서는 소득 수준에 따라 시간당 1744원~1만1630원의 비용으로 아이를 마음 편하게 맡길 수 있어 갈수록 수요가 늘고 있다.

지난 3년간 수요를 보면 광주의 경우 2021년 2031가구에서 2013년 2519가구로 24% 늘었고 이에 따라 예산도 2021년 133억 원에서 지난해 188억 원으로 증가했다. 전남도 사정은 마찬가지로 2021년 3194가구이던 신청 가구 수가 지난해 3693가구로 늘면서 같은 기간 예산도 207억 원에서 291억 원으로 40% 급증했다. 반면 가정에 파견되는 돌보미는 지난 3년 동안 광주가 120여 명만 늘어 1053명에 불과하고 전남도 1199명으로 4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돌보미를 요청하는 가정이 느는 것은 맞벌이 부모들의 수요 때문이다. 합리적인 가격에 믿을 수 있는 돌보미에게 맡길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수요가 느는데도 공급이 따라주지 못하는 원인은 돌보미 양성 교육기관의 부족 탓이 크다. 광주시는 현재 한 곳인 교육기관을 내년에 한 곳 더 늘려 수요를 감당한다는 계획이다. 전남도는 기존 서부권(영광)에만 있던 교육기관을 동부권(순천)에 추가로 지정해 양성 폭을 늘리고 있다.

낮은 출산율과 인력 유출 그로 인한 지방소멸의 원인 가운데 하나가 마음 놓고 아이들을 맡길 수 없다는 데 있다. 양육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그나마 출산율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오랜 연구에서도 확인이 됐다. 정부와 지자체들은 아이돌봄 서비스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돌보미 양성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