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자치구와 함께 쓰레기 소각장 건립 나서나
2024년 07월 10일(수) 21:15
1순위 후보지 11일 공동 브리핑
광주시와 자치구(구청)가 주민 반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원회수 시설(쓰레기 소각장) 건립<본보 7월 10일자 1면> 방안 마련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광주 5개 자치구들은 그동안 생활 폐기물 처리는 자신들의 고유 사무임에도, 광주시에 해당 업무를 위임한 뒤 반대 주민의 눈치만 보는 등 비협조적인 행정 행태를 반복해 지역사회의 비난을 받아왔다.

10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 자원회수 시설 입지 선정위원회는 이날 광주시청에서 회의를 열어 기존 공모 절차를 거쳐 후보지로 압축된 서구 매월동, 북구 장등동, 광산구 삼거동을 대상으로 적합성 등을 논의했다. 위원회는 그동안 장소별로 사회적 영향, 경제성, 입지 요건 등을 분석해 최적의 장소를 검토해왔다. 그러나 3개 지역 모두 지역 주민의 반발이 워낙 거센 탓에 최종 후보지를 선정하더라도 사업 추진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 등이 제기됐고, 위원회는 결국 이날 발표 예정이었던 최종 1순위 후보지 및 회의 결과도 공개하지 않았다.

대신 강기정 광주시장과 5개 구청장은 11일 오전 입지 선정위원회 회의 결과와 함께 앞으로 추진 방침 등을 브리핑하기로 했다.

그동안 광주시가 주도해온 입지 선정 과정이나 개인, 법인, 단체 등이 직접 신청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광주시와 자치구가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공모 방식을 제안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 등이 나온다.

광주시와 자치구가 공동으로 선정 절차를 밟아 주민 반발을 줄이고, 수용성을 높이자는 것이다.

광주시는 2030년 시행되는 생활 쓰레기 직매립 금지 조치에 대비해 총사업비 3240억원을 들여 하루 650t을 처리할 수 있는 자원회수 시설 건립을 추진 중이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