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 기부’ 시행, 고향사랑기부제에 활로
2024년 06월 05일(수) 00:00 가가
고향사랑기부제가 어제부터 자치단체만 선택하는 방식에서 자신이 원하는 사업을 지정해 기부하는 ‘지정 기부’ 방식으로 변경됐다. 그동안은 기부자가 원하는 자치단체에만 기부했는데 지금부터는 원하는 자치단체의 특정 사업을 꼭 찍어 기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른바 ‘고향사랑 지정 기부’인데 제도 변화로 기부자에겐 기부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고 자치단체 입장에선 지자체 예산으로 하기 힘든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돼 ‘윈-윈’이 될 것이란 기대가 높다. 현재 지정 기부가 가능한 사업은 전국 8개 지자체의 11개가 대상이다. 광주·전남에선 광주 동구청의 ‘광주극장 100년 프로젝트’와 ‘발달장애 청소년 E.T야구단’ 지원과 영암군의 산후조리원 필수 의료기기 구입 지원사업이 포함됐다.
이들 지자체들은 지난해 고향사랑기부제가 도입된 이후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해 구체적인 사업을 발굴해 성과를 얻고 있는 곳들이다. 동구청만 하더라도 기부받는 플랫폼을 행안부 것이 아닌 ‘위기브’라는 민간 플랫폼을 선택해 전국 자치구 가운데 모금액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성과를 내 전국 지자체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정부는 지정 기부 대상을 점차 확대해 도입 2년만에 정체에 놓인 고향사랑기부제의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지정 기부제 시행으로 지자체간 아이디어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보인다. 기부자를 유인할 만한 기발한 사업을 발굴하지 못하면 소외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정부가 이제라도 지정 기부제를 시행한 것은 고향사랑기부제의 활성화 차원에서도 반길 일이다. 지정 기부제가 성공하기 위해선 지자체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 행안부가 시행지침을 일선 지자체에 보내 규제 논란이 일고 있는데 지자체들이 필요한 내용을 조례로 제정해 운영하면 될 일이다. 행안부 플랫폼 대신 민간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도록 하는 것도 성공을 위한 전제 조건이다.
이들 지자체들은 지난해 고향사랑기부제가 도입된 이후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해 구체적인 사업을 발굴해 성과를 얻고 있는 곳들이다. 동구청만 하더라도 기부받는 플랫폼을 행안부 것이 아닌 ‘위기브’라는 민간 플랫폼을 선택해 전국 자치구 가운데 모금액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성과를 내 전국 지자체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정부는 지정 기부 대상을 점차 확대해 도입 2년만에 정체에 놓인 고향사랑기부제의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