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중화가 낳은 전남 인구 180만 붕괴
2024년 04월 03일(수) 00:00
전남 인구가 180만명 선마저 무너졌다. 지방 소멸 위기로 예상된 일이긴 하지만 인구 감소 속도가 가팔라 충격적이다. 전남도가 국가통계포털의 주민등록 인구를 분석한 결과 전남지역 인구는 3월 기준 179만8435명으로 한 달 전보다 1917명이 줄면서 180만명 선이 붕괴됐다.

2000년 213만명이던 전남 인구는 10년만인 2010년 200만명 선이 깨진후 7년만인 2017년 190만명 선이 무너졌고 이번에는 6년여만에 180만명 선까지 붕괴됐다. 절대 인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선 감소 폭이 둔화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10만명 단위로 줄어드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이례적이면서 그만큼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더 심각한 것은 청년층 인구 감소다. 2018년 말 기준 60만여 명이던 전남지역 청년(18~45세) 인구는 5년만에 9만여 명이 줄어 감소폭이 15%나 됐다. 전체 인구 감소속에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청년층이 대도시로 떠나면서 전남엔 소멸 공포감이 확산되고 있다.

농어촌 인구 감소가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지방자치단체의 눈물겨운 노력에도 감소 폭이 줄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다. 전남도와 각 시군은 1만원 주택 등 정주환경 개선, 공공산후조리원 확대와 같은 출산정책 등 갖가지 인구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백약이 무효다. 정부의 수도권 집중화 정책이 계속되는 한 인구 감소로 인한 지방 소멸은 눈앞에 닥친 현실이 될 수밖에 없다. 윤석열 정부 들어서는 용인 일대에 세계 최대 규모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과 서울을 중심으로 한 메가시티 구상 등 수도권 집중화 정책이 가속화 되고 있다.

지금부터라도 정부는 지역 균형발전에 방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공공기관 2차 지방 이전과 제2의 행정복합도시 추진 등 지방 도시권을 강화하는 정책을 통해 수도권으로 몰리는 인구를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이번 총선은 수도권 집중화 대신 지역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선거가 돼야 한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