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고독사 예방시스템 재점검해야
2023년 12월 19일(화) 00:00
광주·전남지역에서 주변과 단절된 채 살다 홀로 임종하는 고독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엊그제 광주시 북구 한 주택에서 A(70)씨가 홀로 숨진지 10일 만에 발견됐다. 경찰 조사결과 A씨는 경제적 어려움이 없었으나 이웃은 물론 자식과도 왕래 없이 홀로 지내다 죽음을 맞은 것으로 조사됐다. 순천시에서는 B(61)씨가 폐가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미혼인 B씨는 기초생활수급 대상자나 복지지원 대상자도 아니었고 폐가 인근 일반 주택에 세들어 살고 있었다. B씨의 죽음은 절도범이 홀로 숨져 있는 B씨 옆에서 휴대전화를 훔쳤다고 경찰에 진술함으로써 뒤늦게 드러났다. B씨의 어머니와 형제가 타 지역에 살고 있었지만 그를 찾는 실종신고는 접수되지 않았다.

최근 광주·전남지역에서 경제적으로 궁핍하지 않아 복지정책 대상자가 아님에도 홀로 숨지는 경우가 잇따르고 있다. 이들은 새로운 유형의 위험군으로 고령 노인,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등에 초점을 맞춰 시행하고 있는 광주·전남 자치단체의 고독사 예방 정책에 사각지대가 생기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유형 고독사는 가족단절, 비혼, 황혼 이혼, 1인 가구 증가 등 복합적 이유가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광주지역 1인 가구는 2018년 17만 4614가구였지만 지난해에는 22만 1464가구로 4년새 5만 여 가구가 늘었다. 전남 역시 2018년 23만 5062가구에서 지난해 28만 3429가구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광주·전남 자치단체와 당국은 고독사가 특정 계층, 연령층을 떠나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사회적 문제라는 관점에서 고독사 예방 시스템을 총체적으로 재 점검해야 한다. 1인 가구 증가 추세와 자발적인 고립을 택하는 이들이 늘고 있는만큼 전반적인 실태 분석을 통해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는 위기 계층 관리를 한층 강화해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