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요가 대중적 종목될 수 있게 세계 정상 계속 도전할 것”
2023년 08월 28일(월) 19:45 가가
전남공고 1학년 엄건주 군 세계요요대회 4A 종목 한국인 최초 우승
4학년때 생일선물로 받은 요요로 시작…아버지 열렬한 응원에 성장
“나만의 브랜드 전시하고 선수 양성하는 요요 박물관 만드는게 꿈”
4학년때 생일선물로 받은 요요로 시작…아버지 열렬한 응원에 성장
“나만의 브랜드 전시하고 선수 양성하는 요요 박물관 만드는게 꿈”
“4학년 때 친구에게 생일 선물로 요요를 받아서 우연히 시작했어요. 화려한 기술과 정교함에 빠져 지금까지 요요를 잡고 있습니다.”
지난 20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WORLD YO-YO CONTEST 2023’(이하 세계요요대회) 4A 종목에서 한국인 최초 우승자가 나왔다. 전남공고 카페베이커리과 1학년 엄건주(17)군이 그 주인공이다. 4A 종목은 오프스트링(off-string)이라고도 불리며 요요 줄을 축에서 분리된 상태로 기술을 구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세계요요대회는 1932년 처음 시작된 이후 매년 전 세계 요요인들이 모여 경쟁하는 국제 대회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부터 온라인으로만 진행되다가 4년만에 현장에서 열렸다. 특히 일본에서 개최하는 대회는 선수들 평균 실력이 높아 본선 무대에 진출하는 것이 어렵기로 유명하다.
엄 군은 이번 대회에서 감동의 드라마를 썼다. 준결승 무대에서 탈락 커트라인 10위를 기록, 기술 하나만 놓쳐도 본선 무대를 밟지 못하는 상황에서 아슬아슬하게 결승에 올랐다. 엄 군은 우승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압도적인 성공률로 점수를 따냈고 세계 정상을 차지했다.
“요요는 하면 할 수록 새롭게 느껴집니다. 어려운 기술을 연마하고 높은 점수를 기록할 수 있을까 스스로에 대한 의심이 들 때도 있었지만, 그럴수록 더 열심히 연습에 몰두하곤 했어요.”
엄 군은 고등학생이 된 지금까지 6년동안 유튜브 등 영상 강의를 보며 요요를 스스로 익혔다. 2021년 쯤 잠시 슬럼프가 오기도 했지만 세계 정상 팀에 입단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극복해왔다. 엄 군은 대표적인 기술을 소개해달라는 질문에 “그동안 직접 만들어낸 기술만해도 1000개는 넘을 것 같다”며 웃어보였다.
엄 군이 요요에 집중할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의 꿈을 지지해주는 아버지의 열렬한 응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엄 군은 “저희 아버지가 저보다 더 열정적이셨어요. 제가 아직 기술력이 많이 올라오지 않았을 때 아버지께서 조언을 계속 해주셨고 덕분에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늘 저를 자랑스러워하시는 모습에 보답하고 싶은 마음이에요.”
엄 군은 요요 박물관을 세우고 싶다고 말했다. 자신이 직접 디자인하고 제작한 요요 브랜드를 만들어 전시하고 후학을 양성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요요 연습뿐만 아니라 학교 생활도 성실히 하고 있다. 박물관에 자신의 전공을 살려 베이커리 카페를 만들고 싶다고 전했다. 자녀들이 요요 강습을 받고 있을 때 학부모들이 와서 편하게 시간을 보내고 이야기도 나눌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고 싶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요요 선수들을 교육·양성해서 지금보다 더 대중적인 종목이 될 수 있도록 만들고 싶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계속해서 세계 정상 자리에 도전할 거고요.(웃음)”
/이유빈 기자 lyb54@kwangju.co.kr
지난 20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WORLD YO-YO CONTEST 2023’(이하 세계요요대회) 4A 종목에서 한국인 최초 우승자가 나왔다. 전남공고 카페베이커리과 1학년 엄건주(17)군이 그 주인공이다. 4A 종목은 오프스트링(off-string)이라고도 불리며 요요 줄을 축에서 분리된 상태로 기술을 구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엄 군은 고등학생이 된 지금까지 6년동안 유튜브 등 영상 강의를 보며 요요를 스스로 익혔다. 2021년 쯤 잠시 슬럼프가 오기도 했지만 세계 정상 팀에 입단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극복해왔다. 엄 군은 대표적인 기술을 소개해달라는 질문에 “그동안 직접 만들어낸 기술만해도 1000개는 넘을 것 같다”며 웃어보였다.
엄 군이 요요에 집중할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의 꿈을 지지해주는 아버지의 열렬한 응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엄 군은 “저희 아버지가 저보다 더 열정적이셨어요. 제가 아직 기술력이 많이 올라오지 않았을 때 아버지께서 조언을 계속 해주셨고 덕분에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늘 저를 자랑스러워하시는 모습에 보답하고 싶은 마음이에요.”
엄 군은 요요 박물관을 세우고 싶다고 말했다. 자신이 직접 디자인하고 제작한 요요 브랜드를 만들어 전시하고 후학을 양성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요요 연습뿐만 아니라 학교 생활도 성실히 하고 있다. 박물관에 자신의 전공을 살려 베이커리 카페를 만들고 싶다고 전했다. 자녀들이 요요 강습을 받고 있을 때 학부모들이 와서 편하게 시간을 보내고 이야기도 나눌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고 싶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요요 선수들을 교육·양성해서 지금보다 더 대중적인 종목이 될 수 있도록 만들고 싶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계속해서 세계 정상 자리에 도전할 거고요.(웃음)”
/이유빈 기자 lyb54@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