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불황은 없다…작년 국내 판매 28만대 돌파
2023년 01월 09일(월) 17:40 가가
반도체 수급난에도 역대 최대 판매 기록
벤츠, 한국시장 진출 후 첫 8만대 고지
베스트셀링 모델은 벤츠 E-클래스 2만8318대 팔려
작년 광주전남 수입차 1만1222대…전년 대비 2.4% 늘어
벤츠, 한국시장 진출 후 첫 8만대 고지
베스트셀링 모델은 벤츠 E-클래스 2만8318대 팔려
작년 광주전남 수입차 1만1222대…전년 대비 2.4% 늘어


반도체 수급난 속에서도 지난해 수입차가 28만대가 넘게 팔리면서 역대 최대 판매 기록을 세웠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작년 연간 판매 8만대를 넘어서며 7년 연속 수입차 판매 1위를 지켰다. 사진은 베스트셀링 모델 벤츠의 E 클래스. <광주일보 자료사진>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도 작년 수입 승용차 판매가 전년보다 증가하면서 28만대를 돌파하는 등 역대 최대 판매를 기록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한국 자동차 시장에 진출한 이후 처음으로 8만대 고지에 올라서면서 브랜드 판매 1위 왕좌를 굳건히 지켰다.
8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지난 한 해 국내 수입차 신규 등록 대수(테슬라 제외)는 총 28만3435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27만6146대) 대비 2.6% 증가한 것이다.
특히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수입차의 연간 판매량이 28만대를 넘어선 것은 수입자동차협회가 집계를 시작한 1987년 이후 처음이다.
브랜드별로 보면 메르세데스-벤츠는 전년 대비 6.3% 증가한 8만976대를 판매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한국 시장 진출 이후 처음으로 연간 판매량 8만대를 돌파한 것으로, 이에 따라 벤츠는 7년 연속 수입차 판매 1위 왕좌 자리를 지켜냈다.
벤츠의 뒤를 이어 BMW는 전년(6만5669대)보다 19.6% 증가한 7만8545대를 판매해 2위에 올랐다. 아우디는 전년(2만5615대) 대비 16.4% 감소한 2만1402대를 판매해 3위를 기록했다.
이밖에 폭스바겐(1만5791대), 볼보(1만4431대), 미니(1만1213대) 등 순이었다.
지난 한 해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베스트셀링 모델은 역시 메르세데스-벤츠의 럭셔리 비즈니스 세단 E-클래스 모델이었다. E-클래스는 총 2만8318대가 판매됐는데, 트림별로 보면 E 250 1만2172대, E 350 4매틱(MATIC) 1만601대 등이 인기가 높았다.
앞서 벤츠의 10세대 E-클래스는 지난해 11월 누적 판매량 20만대를 돌파하기도 했다. 이는 국내 수입차 시장 최초로 ‘단일 모델 20만대 판매’를 달성한 것으로, 그만큼 국내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어 2위는 BMW 5시리즈로 2만1166대, 3위는 메르세데스-벤츠의 S-클래스(1만3206대)로 파악됐다.
광주·전남지역에서도 수입차 판매가 늘었다. 지난해 광주·전남의 수입차 등록 대수는 1만1222대로, 전년(1만955대)보다 2.4%(267대) 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광주에서는 개인 5031대, 법인 559대 등 총 5590대의 수입차가 판매돼 전년 5714대에 비해서는 소폭(-2.17%) 감소했다.
반면 전남지역에서는 지난해 개인 4379대, 법인 1253대 등 총 5632대의 수입차가 판매돼 전년(5241대) 대비 7.5%(391대) 판매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국내 수입차 중 연료별 판매를 보면 가솔린차는 13만9821대(49.3%), 하이브리드차는 7만4207대(26.2%), 디젤차는 3만391대(11.7%), 전기차는 2만3202대(8.2%),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는 1만3114대(4.6%)가 팔렸다.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266.0% 급증한 반면, 가솔린차는 1.6% 증가하는 데 그쳐 전기차의 인기가 두드러졌다. 디젤차는 경유 가격 상승에 따라 판매량이 15.3%나 감소했다.
국가별 브랜드 판매량은 유럽이 24만1449대(85.2%)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미국 2만4995대(8.8%), 일본 1만6991대(6.0%) 순이었다.
유럽 브랜드 판매량이 전년 대비 7.4% 증가한 가운데 미국과 일본 브랜드는 각각 18.7%, 17.3% 감소했다.
수입차협회 관계자는 “반도체 수급난에도 일부 브랜드의 안정적인 물량 확보와 다양한 신차 출시로 판매량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메르세데스-벤츠는 한국 자동차 시장에 진출한 이후 처음으로 8만대 고지에 올라서면서 브랜드 판매 1위 왕좌를 굳건히 지켰다.
특히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수입차의 연간 판매량이 28만대를 넘어선 것은 수입자동차협회가 집계를 시작한 1987년 이후 처음이다.
브랜드별로 보면 메르세데스-벤츠는 전년 대비 6.3% 증가한 8만976대를 판매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한국 시장 진출 이후 처음으로 연간 판매량 8만대를 돌파한 것으로, 이에 따라 벤츠는 7년 연속 수입차 판매 1위 왕좌 자리를 지켜냈다.
이밖에 폭스바겐(1만5791대), 볼보(1만4431대), 미니(1만1213대) 등 순이었다.
앞서 벤츠의 10세대 E-클래스는 지난해 11월 누적 판매량 20만대를 돌파하기도 했다. 이는 국내 수입차 시장 최초로 ‘단일 모델 20만대 판매’를 달성한 것으로, 그만큼 국내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어 2위는 BMW 5시리즈로 2만1166대, 3위는 메르세데스-벤츠의 S-클래스(1만3206대)로 파악됐다.
광주·전남지역에서도 수입차 판매가 늘었다. 지난해 광주·전남의 수입차 등록 대수는 1만1222대로, 전년(1만955대)보다 2.4%(267대) 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광주에서는 개인 5031대, 법인 559대 등 총 5590대의 수입차가 판매돼 전년 5714대에 비해서는 소폭(-2.17%) 감소했다.
반면 전남지역에서는 지난해 개인 4379대, 법인 1253대 등 총 5632대의 수입차가 판매돼 전년(5241대) 대비 7.5%(391대) 판매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국내 수입차 중 연료별 판매를 보면 가솔린차는 13만9821대(49.3%), 하이브리드차는 7만4207대(26.2%), 디젤차는 3만391대(11.7%), 전기차는 2만3202대(8.2%),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는 1만3114대(4.6%)가 팔렸다.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266.0% 급증한 반면, 가솔린차는 1.6% 증가하는 데 그쳐 전기차의 인기가 두드러졌다. 디젤차는 경유 가격 상승에 따라 판매량이 15.3%나 감소했다.
국가별 브랜드 판매량은 유럽이 24만1449대(85.2%)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미국 2만4995대(8.8%), 일본 1만6991대(6.0%) 순이었다.
유럽 브랜드 판매량이 전년 대비 7.4% 증가한 가운데 미국과 일본 브랜드는 각각 18.7%, 17.3% 감소했다.
수입차협회 관계자는 “반도체 수급난에도 일부 브랜드의 안정적인 물량 확보와 다양한 신차 출시로 판매량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