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치솟는 물가 부담” 금리 한 달 만에 또 인상
2022년 05월 26일(목) 18:50
한은, 기준금리 1.75%로 0.25%포인트 올려 ‘두 달 연속’
9개월새 1.25%P 상승에 이자 부담 17조 늘어 ‘빚투 비상’
한국은행이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불과 한 달 만에 다시 기준금리를 올렸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26일 오전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1.50%인 기준금리를 1.7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앞으로 국내경제는 글로벌 성장세 둔화로 수출 증가세가 낮아지겠지만, 민간소비 개선에 힘입어 회복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대해서는 “지난 2월 전망치(3.0%)를 다소 하회하는 2%대 후반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물가와 관련해서는 “소비자물가는 당분간 5%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올해 상승률도 2월 전망치(3.1%)를 크게 상회하는 4%대 중반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런 금통위의 시각과 마찬가지로 한은도 이날 발표한 수정 경제 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예상치를 3.0%에서 2.7%로 낮추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3.1%에서 4.5%로 크게 높여 잡았다.

금통위는 금리 인상 배경과 향후 방향에 대해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으나 국내경제가 회복세를 지속하고 물가가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앞으로 당분간 물가에 보다 중점을 두고 통화정책을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물가 안정을 위한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날 기준금리 인상으로 작년 8월 이후 최근 약 9개월 기준금리가 0.5%에서 1.75%로 1.25%포인트나 뛰었다. 이에 따라 대출금리가 딱 기준금리 인상 폭만큼만 올라도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17조원 가까이 불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더구나 기준금리가 연말까지 최소 두 차례 이상 더 오를 가능성이 커 다중채무자나 20·30 세대,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과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족, ‘빚투’(빚으로 투자)족 등의 부담이 갈수록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그만큼 은행 등 금융기관의 조달 비용이 늘어나고, 결국 금융기관이 소비자에게 적용하는 금리도 올라갈 수밖에 없다. 한은의 ‘가계신용(빚)’ 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계대출은 모두 1752조7000억원에 이른다.

아울러 같은 달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전체 잔액의 77%가 변동금리 대출로 조사됐다.

은행 외 금융기관의 변동금리 비중도 같다고 가정하면, 산술적으로 대출금리가 기준금리와 마찬가지로 0.25%포인트 오를 경우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3조3739억원(1752조7000억원×77%×0.25%)이나 불어나는 셈이다.

지난해 8월 금통위가 사상 최저 수준(0.5%)까지 낮아진 기준금리를 15개월 만에 처음 0.25%포인트 올렸고, 같은 해 11월과 올해 1월, 4월에 이어 이날 다시 0.25%포인트씩 인상한 만큼, 약 9개월간 늘어난 이자만 16조8695억원 가량(3조3739억원×5)으로 추산된다.

앞서 한은은 작년 9월 기준 가계대출 잔액을 기준으로 기준금리가 각 0.25%포인트, 0.5%포인트 인상될 경우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이 2020년 말과 비교해 각각 3조2000억원, 6조4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대출자 한 명당 연이자 부담도 289만6000원에서 각각 305만8000원, 321만9000원으로 16만1000원, 32만2000원 커진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추산하면 지난 9개월간 1.25%포인트 인상에 따른 1인당 이자 부담 증가액은 80만5000원 정도로 예상된다.

여기에 금융업계는 금통위가 연내 0.25%포인트씩 최소 두 차례 추가 인상을 통해 기준금리를 최소 연 2.25%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이미 6%대를 넘어선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도 올해 말께 2009년 이후 13년 만에 7%대에 진입할 가능성도 커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박기웅 기자 pboxer@·연합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