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 앞두고 광주 민주당 복당 봇물
2021년 08월 03일(화) 19:45 가가
권리당원 기준일 맞춰 급증
10여명서 지난달 200명 육박
국민의당 등 출신 복당 주목
10여명서 지난달 200명 육박
국민의당 등 출신 복당 주목
내년 3월 대선과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광주에서 더불어민주당 복당자들이 크게 늘고 있다.
3일 민주당 광주시당에 따르면, 시당은 지난달 30일 당원자격심사위원회를 열고 170여명의 복당 신청자 중 150여명에 대해 복당 자격을 부여했다.
복당자 대부분은 지난 선거에서 출마자 등의 권유로 입당했다가 탈당한 ‘단순 탈당자’들로, 사실상 일반 당원들이다. 이들은 선거 출마자들이 당원을 모집할 때 입당한 뒤 권리당원 자격을 얻어 경선에 참여했다가 경선이 끝난 뒤 당비 등을 내지 않고 탈당한 당원들이다.
내년 지방선거 경선 권리당원 자격이 ‘이달 말(8월31일)까지 입당하고 내년 3월 이전에 6개월 당비를 납부한’ 당원에게만 주어지는 만큼 이달까지 복당 신청자는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당원자격심사위원회는 매달 1차례 열리고 있는데, 평소 10여명 수준의 복당 신청자가 지난달에는 200명에 가까운 수준까지 늘었다. 다음 위원회는 오는 20일 열릴 예정이다. 권리당원 자격일까지 마지막 심사인 만큼 신청자가 폭증할 전망이다.
하지만, 이번 복당 심사에서는 국민의당과 민생당 등 다른 당 소속으로 선거에 출마했거나 당선됐던 경력자들은 복당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이 당헌·당규 개정을 통해 복당에 대한 자격 기준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16년 20대 총선에서 민주당을 탈당하고 국민의당의 ‘녹색 돌풍’으로 당선된 뒤 지난 21대 총선에서는 민생당으로 출마해 낙선한 정치인들의 복당 여부가 큰 관심이다. 또한, 이들 지역구 국회의원들과 함께 탈당해 당적을 바꿨던 지방의원들의 복당 여부도 주목된다. 이들이 내년 지방선거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데다, 일부는 ‘10년 이내 탈당자, 경선 25%까지 감산’ 규정에도 내년 선거에 출마를 강행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당 안팎에서는 이들의 복당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는 만큼 쉽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대선을 앞두고 이들이 민주당 각 경선 후보들의 지지에 나서고 있는 만큼 본격전인 대선 전에 복당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시당 관계자는 “광주가 민주당 텃밭인 만큼 민주당 당적을 가지고 있어야만 향후 정치 행보에 유리할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앞으로도 복당 신청은 꾸준하게 늘어날 것”이라면서 “하지만 타당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이력이 있는 정치인들의 복당은 선거를 앞두고 여러 각 지역위원회 내부의 이해관계와 지역구 국회의원들의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쉽지는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3일 민주당 광주시당에 따르면, 시당은 지난달 30일 당원자격심사위원회를 열고 170여명의 복당 신청자 중 150여명에 대해 복당 자격을 부여했다.
내년 지방선거 경선 권리당원 자격이 ‘이달 말(8월31일)까지 입당하고 내년 3월 이전에 6개월 당비를 납부한’ 당원에게만 주어지는 만큼 이달까지 복당 신청자는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당원자격심사위원회는 매달 1차례 열리고 있는데, 평소 10여명 수준의 복당 신청자가 지난달에는 200명에 가까운 수준까지 늘었다. 다음 위원회는 오는 20일 열릴 예정이다. 권리당원 자격일까지 마지막 심사인 만큼 신청자가 폭증할 전망이다.
그러나 시당 안팎에서는 이들의 복당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는 만큼 쉽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대선을 앞두고 이들이 민주당 각 경선 후보들의 지지에 나서고 있는 만큼 본격전인 대선 전에 복당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시당 관계자는 “광주가 민주당 텃밭인 만큼 민주당 당적을 가지고 있어야만 향후 정치 행보에 유리할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앞으로도 복당 신청은 꾸준하게 늘어날 것”이라면서 “하지만 타당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이력이 있는 정치인들의 복당은 선거를 앞두고 여러 각 지역위원회 내부의 이해관계와 지역구 국회의원들의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쉽지는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