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명예의 전당’에 성범죄자를 올렸다니
2021년 01월 18일(월) 00:00 가가
광주시가 공동체에 크게 헌신한 ‘영웅’들을 기린다는 취지로 조성한 ‘명예의 전당’이 문을 열자마자 논란에 휩싸였다. 전당에 이름을 올린 인사들의 명단에 과거 성추행 등으로 물의를 빚은 인물들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엊그제 광주시청 1층에 개관한 명예의 전당에는 1987년부터 시상된 사회봉사·학술·예술·체육·경제 진흥 분야의 역대 ‘시민대상’ 수상자 153명과 1억 원 이상 고액 기부자인 ‘아너 소사이어티’ 회원 114명 등 267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한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 중 몇몇은 과거 성추행 사건에 휘말리거나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끼친 경제계 인사들인 것으로 드러났다. 제자를 성추행한 혐의를 받고 재판 중이거나 성추행 사건에 휘말려 경찰에 입건된 인사, 무리한 투자 유치로 피해자를 양산한 인물 등이 바로 그들이다.
이들은 물론 극히 일부이긴 하지만 명예의 전당 이미지를 통째로 흐리고 있다는 점에서 결코 가벼이 여길 사안은 아니다. 더욱이 민주·인권·평화의 도시인 광주에서 독립운동이나 민주화를 위해 헌신한 수많은 지역 인사들이 빠져 있다는 점도 시민의 눈높이와는 어긋난다. 코로나19 방역의 최전선에서 싸우고 있는 의료진과 일상 속에서 나눔과 연대를 실천하고 있는 평범한 시민 영웅들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러니 광주의 영웅은 고액 기부자와 시민대상 수상자들뿐이냐는 자조 섞인 푸념까지 나오는 것이다.
이런 황당한 일이 발생한 것은 논의 과정에서 시민 사회를 배제한 채 행정이 일방적으로 주도했기 때문일 것이다. 광주시는 시민들이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금이라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 인사들의 선정 기준을 세밀히 마련하고 사전 검증 절차를 강화해야 한다.
엊그제 광주시청 1층에 개관한 명예의 전당에는 1987년부터 시상된 사회봉사·학술·예술·체육·경제 진흥 분야의 역대 ‘시민대상’ 수상자 153명과 1억 원 이상 고액 기부자인 ‘아너 소사이어티’ 회원 114명 등 267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한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 중 몇몇은 과거 성추행 사건에 휘말리거나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끼친 경제계 인사들인 것으로 드러났다. 제자를 성추행한 혐의를 받고 재판 중이거나 성추행 사건에 휘말려 경찰에 입건된 인사, 무리한 투자 유치로 피해자를 양산한 인물 등이 바로 그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