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추억
2021년 01월 06일(수) 05:30 가가
정부가 코로나19로 인한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를 오는 17일 자정까지 연장했다. 지난해 연말에 시작된 강도 높은 거리두기가 해를 넘기며 1개월 간 이어지는 셈이다. 강화된 방역 지침 속에 연말 송년회와 새해 신년회도 사라졌다.
특히 지난해 연말에는 친구나 직장 동료 혹은 친척 등과 함께 한 해를 마감하고 이웃끼리 따뜻함을 나누는 세밑 풍경을 찾아볼 수 없었다. 새해 아침에 떠오르는 뜨거운 일출을 보며 한 해의 설계와 다짐을 해 보는 신년 해맞이 행사도 모두 사라졌다. 평범했던 일상은 이제 추억으로 남았을 뿐이다.
코로나로 인해 너무나 당연하게 여겼던 일상이 더 이상 당연하지 않음을 새삼 깨닫게 된다. 우리 모두 평범한 일상의 소중함을 새롭게 인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매일 반복되는 일상에 ‘다람쥐 쳇바퀴 도는 삶’이라고 불평을 해 왔던 사람들도 “왜 그런 불평을 했었는지 이제 와서 보니 후회가 된다”고 말할 정도다.
그때는 몰랐지만 하루아침에 잃고 보니 평범했던 일상들마저 우리에게 얼마나 소중한 것이었는지 알게 된 것이다. 마스크 없이도 언제라도 불쑥 떠날 수 있었던 여행. 친구나 직장 동료들과 함께 하루의 일상을 마감하며 진하게 기울였던 소주 한잔. 동호회 회원들끼리 모여 즐겼던 취미 생활. 이러한 일상을 코로나19가 송두리째 삼켜 버리면서 그 일상이 너무나 그립고 소중한 추억이 되어 버린 셈이다.
방역 수위를 높인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코로나 확진자 수는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언제까지 우리의 평범한 일상을 되찾지 못한 채 살아가야 하는 건지? 그런 생각을 하다 보면 왠지 모를 무력감에 빠져들기도 한다. 새해를 맞아 새롭게 세우는 계획도 과연 제대로 실천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그럼에도 들려오는 희소식이 있어 마냥 암울한 것만은 아니다. 올해 상반기에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고 국내 치료제도 개발된다는 반가운 소식이 그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마스크를 벗고 깨끗한 공기를 마음껏 들이마실 수 있는 평범하고 소중한 일상을 올해는 되찾을 수 있을지 모른다. 아, 생각만 해도 숨통이 트이는 듯하다.
/최권일 정치부 부장 cki@kwangju.co.kr
코로나로 인해 너무나 당연하게 여겼던 일상이 더 이상 당연하지 않음을 새삼 깨닫게 된다. 우리 모두 평범한 일상의 소중함을 새롭게 인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매일 반복되는 일상에 ‘다람쥐 쳇바퀴 도는 삶’이라고 불평을 해 왔던 사람들도 “왜 그런 불평을 했었는지 이제 와서 보니 후회가 된다”고 말할 정도다.
그럼에도 들려오는 희소식이 있어 마냥 암울한 것만은 아니다. 올해 상반기에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고 국내 치료제도 개발된다는 반가운 소식이 그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마스크를 벗고 깨끗한 공기를 마음껏 들이마실 수 있는 평범하고 소중한 일상을 올해는 되찾을 수 있을지 모른다. 아, 생각만 해도 숨통이 트이는 듯하다.
/최권일 정치부 부장 ck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