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군·민간 통합 ‘무안공항 복합도시’로”
2020년 11월 23일(월) 21:25
광주시·무안군·국방부 ‘빅딜’ 강조…“명칭은 ‘김대중 국제공항’”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답보상태인 광주 군·민간 공항의 해법으로 ‘광주·전남 통합 신공항 건설’을 제시했다.

이 같은 새로운 제안에 전남도는 우선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도 이전 대상지를 특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경계했다.

강 전 수석은 이날 ‘광주·전남의 상생발전, 통합 공항을 시작으로’를 주제로 한 온라인 토론회에서 “무안공항의 국제선과 광주공항의 국내선 그리고 광주 군 공항을 한 곳으로 통합해 국제 관문을 확보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광주 군·민간 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통합하고 무안을 ‘공항 복합도시’로 조성해 서남권 공항 거점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행 당사자 간 갈등으로 진척이 없는 군·민간 공항 이전에 대해 “광주시, 무안군, 국방부가 작은 양보를 통해 더 큰 이익을 얻는 빅딜(통합 공항 건설)을 즉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합 공항의 방향으로 ▲군·민간 공항 동시 이전 ▲국내선과 국제선 통합 ▲군 공항 규모를 현재 국방부 계획 대비 70% 축소된 현재 광주 군 공항 수준으로 유지 ▲국방부 계획보다 7배 넓은 완충지대를 조성해 소음 피해 최소화 ▲완충지역 1000만평 공항 복합도시 공동 개발을 제시했다.

공항복합도시는 모두 3개 지구로 구성해 1지구는 풍력기반 특화 산단과 항공산업 특화단지, 물류기반 산업단지, 에코 관광단지를 조성한다는 내용이다. 2지구는 관광레저지구, 3지구는 아시아 투자지구를 조성해 완충지대를 최대한 넓혀 소음지역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이다. 무안공항이 있는 무안군은 군·민간 공항의 통합·이전에 합의하고 ‘공항 복합도시’ 건설로 혜택을 얻을 수 있다고 했다.

광주시는 완충 부지(약 750만평)를 확보하고 전남도는 공항(약 250만평)과 완충 지역(약 1000만평)에 공항 도시를 개발할 것을 제안했다.

광주시는 민간공항 이전으로 완충 지역을 무안군에 확보해 주고 현재 공항 부지에는 미래형 신도시를 개발해 이익을 공유할 수 있다고 했다.

국방부는 계획 대비 군 공항 규모가 줄어들지만, 서남권 전략 요충지를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강 전 수석은 통합 공항의 명칭을 ‘김대중 국제공항’으로 하자고 제안했다.

강 전 수석의 제안에 대해 전남도 관계자는 “도의 공식 입장은 아니지만 강 전 수석의 제안이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향, 정부가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라며 “다면 이전 대상지역을 특정하는 것은 불가하며,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을 아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