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민간인 사살 용납 못 해” … 野 공세는 차단
2020년 09월 27일(일) 19:30
“공무원 피격사건 김정은 전격 사과 최악은 피해
국민의힘, 장외집회·현안 질의 요구는 정치 공세”
더불어민주당은 27일 북한 총격으로 공무원이 사망한 사건과 관련, 차분한 대응 기조를 유지하면서 철저한 진상규명을 위한 남북한 공동조사 필요성을 거듭 제기했다. 민주당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격 사과 입장을 밝히면서 일단 최악의 상황은 피했지만, 북한이 이날 우리 정부를 향해 ‘해상군사분계선 침범을 중단하라’며 경고하는 등 긴장을 늦출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낙연 대표는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시신 화장 여부 등에서 남북의 기존 발표는 차이가 난다”며 “제반 문제를 남북이 공동으로 조사하자는 우리 정부의 제안을 북측이 신속히 수용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국회 국방위원장인 민홍철 의원도 “북한 전통문에는 김 위원장 사과와 사건 경위가 포함돼 이례적이며 진정성을 어느 정도 인정할 수 있지만, 사건 경위는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며 “공동조사로 사실관계를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엄정 대응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김 위원장의 이례적인 태도가 남북 관계 회복의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기대 섞인 목소리도 흘러나왔다.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인 송영길 의원은 지난 25일 “우리가 요청한 지 하루 만에 경위설명, 사과표명, 재발 방지 등이 담긴 답변이 온 것은 발전된 것”이라며 “다만 그 내용에 대해서는 평가를 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날 홍정민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어떤 이유로든 비무장 민간인 사살 행위는 결코 용납할 수 없기에 북한군의 행위를 규탄한다”면서도 “(북한의) 즉각적인 답변과 김 위원장의 직접 사과는 이전과는 다른 경우여서 주목한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이 이번 사건을 계기로 청와대 앞 장외집회를 포함한 총공세에 나서려는 데 대해서는 ‘정치공세’로 규정하고 긴급현안질의 등 요구에 대해 거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유기홍 의원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2013년 우리 국민이 월북 시도 중 초병 사격으로 사망했을 때 주호영 원내대표를 비롯한 새누리당은 당시 아무 말 없이 침묵했다”며 “이처럼 남북관계는 대단히 미묘하고 상호적”이라고 꼬집었다.

민주당 관계자는 “야당에서 본질을 벗어난 정치공세가 이어지는 이상 상임위나 본회의에서의 현안질의를 진행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