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코로나19 확산…‘제2의 우한’ 되나
2020년 06월 17일(수) 17:15 가가
신파디 시장발 확진 106명으로
대응 수준 3급서 2급으로 상향
봉쇄 가능성 거론…주민 이동 제한
대응 수준 3급서 2급으로 상향
봉쇄 가능성 거론…주민 이동 제한


16일 중국 수도 베이징의 한 스포츠 센터에 설치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소에서 공안과 보안요원의 통제 속에 시민들이 검사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중국 당국은 베이징에서 지난 11일 코로나19가 재발한 이후 확진자 수가 100명을 넘어서자 검사와 봉쇄조치를 강화했다. /연합뉴스
![]() ![]() |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 전염병학 수석전문가 우쭌여우는 지난 15일 관영 CCTV 프로그램에 출연해 “바이러스에 이미 감염된 사람들이 증상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앞으로 3일간이 이번 유행의 추세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는 현재까지 확진 환자들이 신파디 시장과 관련됐으며 넓게 퍼지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시는 지난 15일까지 5일간 확인된 확진자 106명이 모두 신파디 시장과 연관 있다고 전날 밝혔다. 왕 주임은 베이징이 잠재적 환자를 찾기 위해 대규모 검사를 진행했다면서 “우한의 상황과는 다르다”고 말했다.
왕 주임은 “일일 신규 확진환자가 늘어나고 바이러스가 지역사회로 어느 정도 수준까지 전파하면 베이징시는 더 강한 방역 조치를 도입하고 도시를 봉쇄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쩡광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 유행병학 수석과학자는 베이징이 상황을 관리할 수 있으며 베이징 주민들이 걱정하는 것 같은 우한식 봉쇄 조치는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한이 봉쇄된 주된 이유는 춘제(春節·중국의 설) 대이동 기간을 맞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우한이 봉쇄된 것은 춘제 이틀 전인 1월 23일이었다.
코로나19 대응 수준 상향 이후 베이징과 다른 지역을 오가는 것은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 항공편이 1천편 넘게 취소됐고 시외버스 운행도 대거 중단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