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폐쇄 이후 지역경제 대책은 있나
2020년 05월 14일(목) 00:00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에 따라 노후한 영광 한빛원전 1호기가 5년 뒤인 2025년에 폐쇄된다. 2호기와 3호기도 2026년과 2034년에 각각 폐쇄될 예정이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국가에너지정책의 기본 틀인 ‘제9차 전력 수급 기본 계획’ 초안에 따르면 현재 46.3%를 차지하고 있는 원자력 발전과 석탄 발전의 설비 용량을 2034년까지 24.8%로 줄이고, 대신 15.1% 수준인 신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을 2034년 40%까지 늘릴 계획이다. 원자력 발전의 점진적 감축 기조에 따라 현재 25기인 원전은 오는 2034년까지 17기로 줄어들게 된다. 9차 초안에는 한빛원전 3호기 폐쇄 계획이 포함됐다. 한빛원전 1·2호기(95만kW급 경수로형 원자로)는 1986년 8월과 1987년 6월에 각각 상업운전을 시작, 설계수명 40년에 거의 임박한 상태이다.

영광 지역의 경제는 한빛원전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전남도의 용역 결과 영광 지역 내 총생산 중 한빛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65.2%에 달한다. 또한 한빛원전이 2013~2017년 영광군에 납부한 지방세도 군 전체 세입의 50%를 차지할 정도이다. 이 때문에 향후 한빛원전 1·2·3호기가 차례로 가동을 멈추게 되면 핵 불안감에서는 벗어날 수 있겠지만 지역 경제에는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

전남도와 영광군은 따라서 한빛원전 폐로(閉盧)에 따른 지역경체 침체 등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철저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지역민들의 의견 수렴 또한 중요하다.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은 핵과 화학연료 사용을 줄이고 신재생 에너지를 확대하면서 동시에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와 전남도, 영광군을 비롯해 지역민 모두가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