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붙는 군산·울산형 일자리…엎친데 덮친 광주형일자리
2019년 10월 22일(화) 04:50 가가
대표이사 등 리더십 부재 논란
노동이사제 도입 내부 잡음에
속도 못내고 수개월째 헛바퀴
군산, 상생협약식 사업 본격화
울산, 현대모비스 3600억 투자
광주와 살아남기 경쟁 불가피
노동이사제 도입 내부 잡음에
속도 못내고 수개월째 헛바퀴
군산, 상생협약식 사업 본격화
울산, 현대모비스 3600억 투자
광주와 살아남기 경쟁 불가피
광주형일자리가 위협 받고 있는 것은 ‘노사상생형 일자리’라는 화두를 국내에서 가장 먼저 던지고도 각종 잡음에 휩싸여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다.
자동차공장을 짓고 운영할 (주)광주글로벌모터스 이사진 자질 문제, 노동이사제 도입 여부 등을 둘러싸고 노동계와 지역사회, 정의당을 중심으로 한 지역정치권과 광주시, 사측이 대치하면서 사업은 수개월째 헛바퀴를 돌고 있다.
그러는 사이 후발주자격인 울산형일자리, 군산형일자리는 사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두 사업 모두 친환경자동차(완성차 또는 부품 생산) 사업으로 광주형일자리 사업을 직접 위협하는 경쟁자로 평가받지만, 정작 (주)광주글로벌모터스 1대 주주인 광주시는 느긋한 모습이다.
광주형일자리 사업에 밝은 복수 관계자들은 “지엠(GM)공장 폐쇄 영향때문인지 군산형일자리 참여 당사자들에게는 절박함이 있다. 울산형일자리는 현대모비스 등이 3000억원 이상을 투자해 친환경차 부품 공장을 짓는 사업으로 이미 기공식까지 마쳤다”며 “제한적인 자동차산업에서 광주 울산 군산이 모두 경쟁자일 수 밖에 없다. 광주가 절박함을 가져야 한다”고 일침을 놨다.
◇속도 붙는 군산·울산형일자리= 전북도는 오는 24일 옛 한국지엠 군산공장(현 명신공장)에서 ‘군산형 일자리 상생협약식’을 열고 본격 사업 추진에 나선다. 군산형 일자리는 명신그룹이 주축이 된 ‘명신 컨소시엄’과 에디슨모터스, 대창모터스, MPS코리아가 중심이 된 ‘새만금 컨소시엄’ 등 2개 컨소시엄으로 진행된다.
참여기업은 2022년까지 4000억원을 투자해 중국 전기차 17만여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직접 고용으로만 일자리 1900여개가 생겨난다는 분석이 있다.
광주형일자리와 달리 ‘기업투자형’ 일자리이지만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양대 노총이 참여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와 관련 지역 노동계 인사는 “군산형일자리에는 절박함이 있다. 광주와 달리 잡음 없이 일이 추진되는 점이 특히 부럽다. 쇠락한 군산 경제를 일으켜보자는 교수와 연구자 등 학계와 지역사회의 헌신도 눈물겹다”고 말했다. 이어 “당장은 중국 브랜드로 전기차를 출시하겠지만 이러한 강점들이 결국 광주형일자리를 위협할 수도 있다. 내수 시장이 제한돼 있다는 점에서 모두가 경쟁자 아니냐”고 지적했다.
울산형일자리는 현대차·롯데·한화그룹 등의 대규모 투자로 시작됐다. 유통·관광 사업 등 여러 사업이 있지만 친환경차 부품단지 조성사업이 광주와 겹친다. 협력사와 함께 3600억원을 투입키로 한 현대모비스는 지난 8월 문재인 대통령 참석 아래 친환경자동차 부품공장 기공식을 여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광산구 빛그린산단에 3000억원을 들여 친환경자동차부품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친환경자동차 부품 인증센터도 유치하는데 성공했다는 점에서 광주로 올 현대모비스 부품공장이 울산으로 간게 아니냐는 불만과 우려도 작지 않다. (주)광주글로벌모터스 공장이 2021년 내연기관 경형 SUV차 양산으로 출발하지만 친환경차량 시장이 커지면 전기차 등 친환경차량으로 생산 전환을 예고했다는 점에서 광주가 군산과 울산에 밀려 친환경자동차 중심도시 지위를 결국엔 빼앗기고 기업 투자와 정부 지원에서 소외되는 게 아니냐는 걱정도 나온다.
◇헛바퀴 도는 광주형일자리=광주·군산·울산 등에서 하나같이 자동차산업을 매개로 일자리 사업이 우후죽순 생겨나면서 향후 시설 투자는 물론 내수 시장에서 중복·과잉 문제가 불거질 것이라는 우려는 어제 오늘 얘기가 아니다.
자동차산업에 밝은 관계자들은 “생산된 차량을 제대로 팔지 못하게 되면 이러한 중복 과잉투자가 모두에게 부담을 주는 상황이 올 수 있다. 광주형일자리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고 안정화될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아선 안 된다”고 지적한다.
자동차산업을 둘러싼 지형변화, 전문가들의 경고에도 광주형일자리 사업을 추진하는 광주시와 (주)광주글로벌모터스의 움직임은 한가롭게 비쳐진다.
초대 대표이사로 선임된 박광태 전 시장과 부사장을 맡은 현대차 출신의 박광식 이사는 이달 들어 사무실에 출근해 정상 업무를 보고 있지만, 선임 과정에서 두 이사 모두 이미 리더십에서 타격을 받은 상태라 운신의 폭도 매우 제한적이다. 노사상생형 일자리이지만 노동이사제 도입 여부, 사회적 복지 내용도 구체화되지 않은 점도 사업 추진의 걸림돌이다.
광주형일자리 사업에 밝은 한 인사는 “광주형일자리가 외부에서 위협을 받고, 내부에서는 난제가 쌓여가지만 누구도 적극적으로 조정자 역할을 맡아 말끔하게 정리하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누구도 먼저 양보할 생각을 하지 않는다”며 “명쾌한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
자동차공장을 짓고 운영할 (주)광주글로벌모터스 이사진 자질 문제, 노동이사제 도입 여부 등을 둘러싸고 노동계와 지역사회, 정의당을 중심으로 한 지역정치권과 광주시, 사측이 대치하면서 사업은 수개월째 헛바퀴를 돌고 있다.
광주형일자리 사업에 밝은 복수 관계자들은 “지엠(GM)공장 폐쇄 영향때문인지 군산형일자리 참여 당사자들에게는 절박함이 있다. 울산형일자리는 현대모비스 등이 3000억원 이상을 투자해 친환경차 부품 공장을 짓는 사업으로 이미 기공식까지 마쳤다”며 “제한적인 자동차산업에서 광주 울산 군산이 모두 경쟁자일 수 밖에 없다. 광주가 절박함을 가져야 한다”고 일침을 놨다.
광주형일자리와 달리 ‘기업투자형’ 일자리이지만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양대 노총이 참여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와 관련 지역 노동계 인사는 “군산형일자리에는 절박함이 있다. 광주와 달리 잡음 없이 일이 추진되는 점이 특히 부럽다. 쇠락한 군산 경제를 일으켜보자는 교수와 연구자 등 학계와 지역사회의 헌신도 눈물겹다”고 말했다. 이어 “당장은 중국 브랜드로 전기차를 출시하겠지만 이러한 강점들이 결국 광주형일자리를 위협할 수도 있다. 내수 시장이 제한돼 있다는 점에서 모두가 경쟁자 아니냐”고 지적했다.
울산형일자리는 현대차·롯데·한화그룹 등의 대규모 투자로 시작됐다. 유통·관광 사업 등 여러 사업이 있지만 친환경차 부품단지 조성사업이 광주와 겹친다. 협력사와 함께 3600억원을 투입키로 한 현대모비스는 지난 8월 문재인 대통령 참석 아래 친환경자동차 부품공장 기공식을 여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광산구 빛그린산단에 3000억원을 들여 친환경자동차부품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친환경자동차 부품 인증센터도 유치하는데 성공했다는 점에서 광주로 올 현대모비스 부품공장이 울산으로 간게 아니냐는 불만과 우려도 작지 않다. (주)광주글로벌모터스 공장이 2021년 내연기관 경형 SUV차 양산으로 출발하지만 친환경차량 시장이 커지면 전기차 등 친환경차량으로 생산 전환을 예고했다는 점에서 광주가 군산과 울산에 밀려 친환경자동차 중심도시 지위를 결국엔 빼앗기고 기업 투자와 정부 지원에서 소외되는 게 아니냐는 걱정도 나온다.
◇헛바퀴 도는 광주형일자리=광주·군산·울산 등에서 하나같이 자동차산업을 매개로 일자리 사업이 우후죽순 생겨나면서 향후 시설 투자는 물론 내수 시장에서 중복·과잉 문제가 불거질 것이라는 우려는 어제 오늘 얘기가 아니다.
자동차산업에 밝은 관계자들은 “생산된 차량을 제대로 팔지 못하게 되면 이러한 중복 과잉투자가 모두에게 부담을 주는 상황이 올 수 있다. 광주형일자리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고 안정화될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아선 안 된다”고 지적한다.
자동차산업을 둘러싼 지형변화, 전문가들의 경고에도 광주형일자리 사업을 추진하는 광주시와 (주)광주글로벌모터스의 움직임은 한가롭게 비쳐진다.
초대 대표이사로 선임된 박광태 전 시장과 부사장을 맡은 현대차 출신의 박광식 이사는 이달 들어 사무실에 출근해 정상 업무를 보고 있지만, 선임 과정에서 두 이사 모두 이미 리더십에서 타격을 받은 상태라 운신의 폭도 매우 제한적이다. 노사상생형 일자리이지만 노동이사제 도입 여부, 사회적 복지 내용도 구체화되지 않은 점도 사업 추진의 걸림돌이다.
광주형일자리 사업에 밝은 한 인사는 “광주형일자리가 외부에서 위협을 받고, 내부에서는 난제가 쌓여가지만 누구도 적극적으로 조정자 역할을 맡아 말끔하게 정리하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누구도 먼저 양보할 생각을 하지 않는다”며 “명쾌한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