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모빌리티·드론 집중 육성…미래 운송 산업 중심지로
2019년 10월 18일(금) 04:50 가가
청정 전남 ‘블루 이코노미’ <5> 블루 트랜스포트
‘e-모빌리티’ 1~2인용 친환경 이동수단
대중교통·물류·복지 등 실증사업 추진
2025년까지 11개사업 7787억원 투입
글로벌 수준 드론 산업 클러스터 조성
“기업 유치·기술 지원…세계시장 적극 공략해야”
‘e-모빌리티’ 1~2인용 친환경 이동수단
대중교통·물류·복지 등 실증사업 추진
2025년까지 11개사업 7787억원 투입
글로벌 수준 드론 산업 클러스터 조성
“기업 유치·기술 지원…세계시장 적극 공략해야”
#. 2021년 어느날. 영광군 영광읍 자동차전용도로. 초소형전기차 50여대가 자동차전용도로를 내달리고 있다. 인근 신안 일대 도로에는 4륜형 전기이륜차 수십여대가 화물을 가득 실은 적재함을 달고 운행중이다.
젊은 운전자들 수십여명이 자전거용 안전모를 쓴 채 전동 킥보드나 전동 휠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퍼스널 모빌리티·PM)을 타고 자전거 전용도로를 이동하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영광군과 목포, 신안군 일대가 ‘e-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이후 대기업과 스타트업들이 규제적용을 받지 않는 전남지역에 잇따라 사무실을 내고 최신형 e 모빌리티 제품 제작과 실증에 뛰어들면서 쉽게 볼 수 있는 풍경들이다.
#. 2024년 어느날. 고흥 고향집을 찾았던 김무인(40·가명)씨는 하늘을 날아다니는 ‘드론(drone·무인비행기)’ 100여대를 보고 깜짝 놀랐다. 직경 22㎞에 달하는 전국 최대규모 비행 시험공역을 갖춰 대기업과 첨단 스타트업 기업들이 둥지를 틀었다는 보도를 접하긴 했지만 시골 하늘에서 한꺼번에 그처럼 많은 드론이 날고 있는 것을 본 적은 처음이었다. 인근 주민들은 “이곳에는 드론 뿐 아니라 개인용 자율 항공기(PAV·Personal Air Vehicle)도 부쩍 늘었다”고 했다.
농업용, 양식장·적조 감시, 섬지역 택배 서비스 등에 활용되는 무인기 시장이 커진데다, 국가 종합비행성능시험장이 들어섰고 1200억원을 들여 첨단 운송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는 하늘을 나는 PAV 테스트타운까지 갖춰지면서 첨단 분야에서 먹거리를 찾으려는 글로벌 기업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드론 규제자유특구인 고흥과 무안 항공산업특화단지 등에 입주한 기업들만 270개에 이르고 외국 인재들까지 3400명이 넘는 인력들이 몰리며 시골에 활력이 넘친다는 게 전남도와 고흥군 설명이다.
전남을 미래형 운송기기 산업의 중심지로 만드는 ‘블루 트랜스포트’ 프로젝트로 선보일 신기술들이 바꿔놓을 미래의 지역 모습을 그려봤다. 젊은층이 떠나고 노인들만 남아 활기를 잃은 지역이라는 고정관념은 깨질 날도 머지 않았다.
전남의 핵심 미래 전략인 ‘블루 이코노미’(Blue Economy)’의 6개 프로젝트 중 블루 트랜스포트(미래형 운송기기 산업 중심, 전남)’는 영광을 중심으로 특화된 e-모빌리티 산업과 고흥을 중심으로 인프라가 집적한 드론산업의 강점을 살려 전남을 첨단 운송 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플랜이다.
특히 정부가 최근 내놓은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감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 구축을 통해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구상이다.
◇e 모빌리티 중심지=‘e-모빌리티’는 기존의 승용차와 차별화된 친환경 전기구동방식의 1~2인 탑승의 개인용 이동수단인 일렉트릭 모빌리티(Electric Mobility), 네트워킹에 모바일 개념을 도입하는 의미인 일렉트로닉 모빌리티(Electronic Mobility)라는 두 가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최근 e 모빌리티 분야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대기오염·소음 등 환경 이슈를 극복할 수 있는 미래 운송수단으로 떠오르면서 해외 시장 규모가 오는 2055년 62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1~2인 가구가 늘고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보급 확대에 관련법이 정비되는 등 제도 개선과 맞물리면서 1733억(2017년) 수준이던 시장 규모가 오는 1조8800억원(2025년)으로 확대되는 등 연평균 4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남도가 지난 2012년부터 영광 대마산단(14만2000㎡)을 중심으로 관련 산업 인프라와 생태계 구축에 힘을 쏟으며 시장 공략에 집중해온 이유이기도 하다. 우선, 전국 최초로 ‘e 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점을 계기로 대중교통, 물류·배달, 공공서비스, 관광, 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실증사업을 추진하면서 e 모빌리티를 활용한 사업 모델을 발굴해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40% 이하인 부품 국산화율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려 시장을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초소형전기차 산업 및 서비스 육성 실증사업’을 통한 신산업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도 나선다.
당장, 올해부터 2025년까지 443억원을 투입해 목포·무안·영광·신안 일대를 대상으로 초소형 전기차를 활용,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KTX나 버스터미널 등을 활용한 모빌리티 연계서비스, 배달·근거리 택배 서비스, 대중교통 소외지역 이동 서비스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e-모빌리티산업’ 의 생태계 구축을 위해 오는 2022년까지 전남 전역에 e-모빌리티 5043대, 충전기 7272기도 보급한다.
전기차 관련 20여개 제조업체들이 공동으로 참여, 초소형전기차 설계 및 해석기술을 개발하고 모터, 인버터, 배터리 등 주요 부품 모듈화를 통해 차량을 제조할 수 있는 단체표준을 만들어 중소·중견기업 주도의 부품 산업 활성화를 이루는 ‘개방형 플랫폼 구축’에 나서는 것도 ‘e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조기 구축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에서다.
여기에 에너지공기업을 중심으로 해 AI, IOT 융합부품산업을 육성하는 중부권과 경량소재를 활용한 부품산업을 키우는 동부권과 연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e 모빌리티산업 클러스터’로 만든다는 게 전남도의 야심찬 구상이다. 이같은 클러스터 활성화를 통해 오는 2025년까지 기업 유치 100개, 고용 창출 2000명, 연 매출 4000억원 달성 등을 일궈내겠다는 것, 전남도의 ‘블루 트랜스포트’ 비전이다.
◇미래 운송 산업인 드론 중심지로=전남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드론산업을 지역전략산업으로 선정한 지역이다. 전국 최대 규모인 직경 22㎞에 달하는 비행시험 공역이 지정되면서 신제품을 자유롭게 날리며 테스트하고 실증하는 데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
전남도는 이같은 조건을 바탕으로 정부의 ‘드론산업발전 기본계획’(2017년)에 이어 17일 발표한 ‘드론 분야 선제적 규제혁파 로드맵’ 을 계기로 ‘국가 드론산업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을 현실화시키겠다는 복안이다.
오는 2025년까지 3개 분야 11개 사업에 7787억원을 들여 글로벌 수준의 드론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게 골자다. 3개 분야는 ▲드론 시험·평가·인증 시스템 구축(3539억원) ▲드론 생산 및 기업지원(1848억원) ▲드론 체험·전시시설(2400억원) 등으로 나뉘어 추진된다.
드론 시험·평가·인증 시스템 구축 분야의 경우 이미 운영중인 고흥 항공센터와 연계한 유·무인기 시험평가·실증 등을 위한 국가 종합비행성능시험장(413억)을 2021년까지 조성하는 한편, 유·무인기 통합관제 인프라(450억)를 2024년까지 만든다. 이렇게되면 전국 최초로 기업들의 유·무인기 개발과 시험평가(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증(항공안전기술원)이 가능한 원스톱 지원체계가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에 미래형 개인 비행체(PAV) 연구개발, 실증을 위한 테스트타운(1200억원)도 조성, 첨단 운송수단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규제혁파 로드맵’을 통해 드론 활용이 가능한 공공수요 창출과 드론택시, 레저드론 등 신산업 창출에 적극 나선다는 입장을 내놓은 점은 전남도의 구상을 현실화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드론 생산 및 기업 지원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한 사업으로는 무안 항공산업특화단지와 연계, 1350억원을 투입해 드론·항공부품 제조 및 생산단지를 조성하고 드론·항공 관련 기업들의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고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드론지식산업센터(178억)도 2021년까지 건립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이같은 사업을 통해 동부권을 드론 규제자유특구로 지정해 비행시험인증 실증 클러스터로 조성하는 한편, 서부권을 항공특화산업단지로 키우고 중부권에는 혁신도시 에너지기업을 중심으로 한 드론과 소프트웨어 융합부품 산업을 창출하도록 지원, 관련 기업 수를 5배(54개→270개), 고용인원을 20배(170명→3400명), 매출 100배(40억→4000억)로 늘리겠다는목표를 세웠다.
전남도 관계자는 “우수한 지역 인프라와 지역 여건을 활용해 전남이 미래형 운송기기 산업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젊은 운전자들 수십여명이 자전거용 안전모를 쓴 채 전동 킥보드나 전동 휠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퍼스널 모빌리티·PM)을 타고 자전거 전용도로를 이동하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 2024년 어느날. 고흥 고향집을 찾았던 김무인(40·가명)씨는 하늘을 날아다니는 ‘드론(drone·무인비행기)’ 100여대를 보고 깜짝 놀랐다. 직경 22㎞에 달하는 전국 최대규모 비행 시험공역을 갖춰 대기업과 첨단 스타트업 기업들이 둥지를 틀었다는 보도를 접하긴 했지만 시골 하늘에서 한꺼번에 그처럼 많은 드론이 날고 있는 것을 본 적은 처음이었다. 인근 주민들은 “이곳에는 드론 뿐 아니라 개인용 자율 항공기(PAV·Personal Air Vehicle)도 부쩍 늘었다”고 했다.
전남을 미래형 운송기기 산업의 중심지로 만드는 ‘블루 트랜스포트’ 프로젝트로 선보일 신기술들이 바꿔놓을 미래의 지역 모습을 그려봤다. 젊은층이 떠나고 노인들만 남아 활기를 잃은 지역이라는 고정관념은 깨질 날도 머지 않았다.
전남의 핵심 미래 전략인 ‘블루 이코노미’(Blue Economy)’의 6개 프로젝트 중 블루 트랜스포트(미래형 운송기기 산업 중심, 전남)’는 영광을 중심으로 특화된 e-모빌리티 산업과 고흥을 중심으로 인프라가 집적한 드론산업의 강점을 살려 전남을 첨단 운송 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플랜이다.
특히 정부가 최근 내놓은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감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 구축을 통해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구상이다.
◇e 모빌리티 중심지=‘e-모빌리티’는 기존의 승용차와 차별화된 친환경 전기구동방식의 1~2인 탑승의 개인용 이동수단인 일렉트릭 모빌리티(Electric Mobility), 네트워킹에 모바일 개념을 도입하는 의미인 일렉트로닉 모빌리티(Electronic Mobility)라는 두 가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최근 e 모빌리티 분야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대기오염·소음 등 환경 이슈를 극복할 수 있는 미래 운송수단으로 떠오르면서 해외 시장 규모가 오는 2055년 62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1~2인 가구가 늘고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보급 확대에 관련법이 정비되는 등 제도 개선과 맞물리면서 1733억(2017년) 수준이던 시장 규모가 오는 1조8800억원(2025년)으로 확대되는 등 연평균 4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남도가 지난 2012년부터 영광 대마산단(14만2000㎡)을 중심으로 관련 산업 인프라와 생태계 구축에 힘을 쏟으며 시장 공략에 집중해온 이유이기도 하다. 우선, 전국 최초로 ‘e 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점을 계기로 대중교통, 물류·배달, 공공서비스, 관광, 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실증사업을 추진하면서 e 모빌리티를 활용한 사업 모델을 발굴해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40% 이하인 부품 국산화율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려 시장을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초소형전기차 산업 및 서비스 육성 실증사업’을 통한 신산업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도 나선다.
당장, 올해부터 2025년까지 443억원을 투입해 목포·무안·영광·신안 일대를 대상으로 초소형 전기차를 활용,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KTX나 버스터미널 등을 활용한 모빌리티 연계서비스, 배달·근거리 택배 서비스, 대중교통 소외지역 이동 서비스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e-모빌리티산업’ 의 생태계 구축을 위해 오는 2022년까지 전남 전역에 e-모빌리티 5043대, 충전기 7272기도 보급한다.
전기차 관련 20여개 제조업체들이 공동으로 참여, 초소형전기차 설계 및 해석기술을 개발하고 모터, 인버터, 배터리 등 주요 부품 모듈화를 통해 차량을 제조할 수 있는 단체표준을 만들어 중소·중견기업 주도의 부품 산업 활성화를 이루는 ‘개방형 플랫폼 구축’에 나서는 것도 ‘e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조기 구축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에서다.
여기에 에너지공기업을 중심으로 해 AI, IOT 융합부품산업을 육성하는 중부권과 경량소재를 활용한 부품산업을 키우는 동부권과 연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e 모빌리티산업 클러스터’로 만든다는 게 전남도의 야심찬 구상이다. 이같은 클러스터 활성화를 통해 오는 2025년까지 기업 유치 100개, 고용 창출 2000명, 연 매출 4000억원 달성 등을 일궈내겠다는 것, 전남도의 ‘블루 트랜스포트’ 비전이다.
◇미래 운송 산업인 드론 중심지로=전남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드론산업을 지역전략산업으로 선정한 지역이다. 전국 최대 규모인 직경 22㎞에 달하는 비행시험 공역이 지정되면서 신제품을 자유롭게 날리며 테스트하고 실증하는 데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
전남도는 이같은 조건을 바탕으로 정부의 ‘드론산업발전 기본계획’(2017년)에 이어 17일 발표한 ‘드론 분야 선제적 규제혁파 로드맵’ 을 계기로 ‘국가 드론산업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을 현실화시키겠다는 복안이다.
오는 2025년까지 3개 분야 11개 사업에 7787억원을 들여 글로벌 수준의 드론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게 골자다. 3개 분야는 ▲드론 시험·평가·인증 시스템 구축(3539억원) ▲드론 생산 및 기업지원(1848억원) ▲드론 체험·전시시설(2400억원) 등으로 나뉘어 추진된다.
드론 시험·평가·인증 시스템 구축 분야의 경우 이미 운영중인 고흥 항공센터와 연계한 유·무인기 시험평가·실증 등을 위한 국가 종합비행성능시험장(413억)을 2021년까지 조성하는 한편, 유·무인기 통합관제 인프라(450억)를 2024년까지 만든다. 이렇게되면 전국 최초로 기업들의 유·무인기 개발과 시험평가(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증(항공안전기술원)이 가능한 원스톱 지원체계가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에 미래형 개인 비행체(PAV) 연구개발, 실증을 위한 테스트타운(1200억원)도 조성, 첨단 운송수단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규제혁파 로드맵’을 통해 드론 활용이 가능한 공공수요 창출과 드론택시, 레저드론 등 신산업 창출에 적극 나선다는 입장을 내놓은 점은 전남도의 구상을 현실화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드론 생산 및 기업 지원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한 사업으로는 무안 항공산업특화단지와 연계, 1350억원을 투입해 드론·항공부품 제조 및 생산단지를 조성하고 드론·항공 관련 기업들의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고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드론지식산업센터(178억)도 2021년까지 건립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이같은 사업을 통해 동부권을 드론 규제자유특구로 지정해 비행시험인증 실증 클러스터로 조성하는 한편, 서부권을 항공특화산업단지로 키우고 중부권에는 혁신도시 에너지기업을 중심으로 한 드론과 소프트웨어 융합부품 산업을 창출하도록 지원, 관련 기업 수를 5배(54개→270개), 고용인원을 20배(170명→3400명), 매출 100배(40억→4000억)로 늘리겠다는목표를 세웠다.
전남도 관계자는 “우수한 지역 인프라와 지역 여건을 활용해 전남이 미래형 운송기기 산업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