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청년 상인이다
2017년 12월 12일(화) 00:00 가가
주변 어르신들이 지나가며 꼭 한마디씩 던지고 가신다. “아따, 젊어서 좋네!” 맞다. 나는 청년 상인이다.
어릴 때 나는 마냥 착한 아이였던 것 같다. 어른들이 하라는 대로, 정해져 있는 보이지 않는 ‘룰’을 어기지 않으며 ‘그냥 그렇게’ 학창시절을 보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른 말을 잘 듣고 그대로 실천하며 살았는데, 정작 견문은 더 좁아지고 있었다. 직접 부딪히고 경험해보는 일은 적었다. 성인이 되고서도 나이도 조금 더 들어서야 뒤늦게 깨달았다.
그래서일까. 그때부터 ‘경험’이라는 것에 허기를 느끼기 시작했다. 직접 경험하는 것도,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것, 모두 소중하고 커다란 자산이 될 것이라 믿었다. 닥치는 대로 다 경험하고 싶었다.
그래서 이것저것 찾아 나섰다. 우리가 말하는 ‘힘든 일’이라는 것도 도대체 무엇인지 궁금하기도 했다. 배달도 해봤고 막노동도 뛰었다. 나중엔 뱃일까지 해보게 됐다.
뱃일을 하면서 웬만해서 붓는 일이 없던 내 손목이 자주 부어 올랐다. 힘을 너무 많이 쓰다 보니 그랬다. 손에 쥐는 일을 많이 하면서 나중엔 맨주먹을 쥐는 것조차 어려워졌다. 힘이 빠졌기도 했으나, 바닷물과 바람에 손이 퉁퉁 부어서 더 그랬다.
겨울 바다가 내뿜는 한기는 경험해보지 않으면 실감하기 어렵다. 워낙 차고 강하게 몰아치는 탓에 매번 흐르는 콧물을 닦기조차 버겁다. 장갑을 낀 채 코를 닦으면 바닷물이 묻어서 코밑이 다 헐어버리기 일쑤다. ‘먹지 않으면 죽는다’는 생각에 평소엔 거들떠보지도 않던 초코파이도 하루에 3개씩 꼬박꼬박 챙겨 먹었다.
사람들이 제일 힘들다고 말하는 뱃일마저 하고 나니 세상 모든 일들과 비교가 됐다. 그 이후로는 뭘 해도 ‘그래 뱃일보단 낫지’ 하며 열정을 불태울 수 있게 됐다. 거북이처럼 묵묵히 뭐든 열심히 해가면서도 ‘또 어떤 경험을 해볼 수 있을까?’라고 안주하던 찰나에 전남도의 ‘푸른돌 청년상인 육성사업’을 만나게 됐다. 직접 만들어보자는 결심이 섰다. 그래서 창업에 도전했다. 메뉴 개발부터 점포 공사까지 모두 직접 다 했다. 그동안 경험들과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더해지니 못할 수가 없었다.
창업 아이템은 술안주로 빼놓을 수 없는 ‘닭발’이다. 어느 날 닭발을 시켜먹었는데 배가 아팠다. 그 이유가 궁금해 알아보니 매운맛을 내기 위해 조리과정에서 캡사이신을 많이 첨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캡사이신을 쓰지 않고 충분히 맛있게 매운 닭발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연구에 들어갔다. 난 주변의 도움을 받아가며 결국 불 맛과 함께 맛있게, 캡사이신이 없이도 맛있는 매운 닭발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점포 공사를 하면서는 뇌리에 있던 생각들이 눈 앞에서 직접 만들어져 가는 과정에 굉장한 설렘을 느꼈다. 하나를 잘 더하면 열 개를 더한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자기애’도 한껏 들었지만 부담감도 더 해졌다. 하지만, ‘잘못하면 다시 하면 되니까, 좀 더 고생하면 되니까, 그 모든 게 경험이 되니까’는 생각으로 하나씩 쌓아왔다. 내가 직접 만들었으니까.
그러나 아무래도 장사는 결코 쉬운 게 아니다. 막상 시작하니 음식의 맛부터 재료 관리, 유통 기한, 세금, 월세, 재고 관리, 서비스, 홍보 마케팅까지 가게를 운영하면서 고민해야할 부분이 셀 수 없이 많았다. 그래도 난 항상 해오던 대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제는 하루하루 어떻게 하면 더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까 고민을 하며 지내고 있다. 서비스에, 시설에, 맛에 만족하는 손님들이 물어보면 이렇게 자신있게 말하고 싶다. “여기 제가 직접 만든 곳이니까요.”
어릴 때 나는 마냥 착한 아이였던 것 같다. 어른들이 하라는 대로, 정해져 있는 보이지 않는 ‘룰’을 어기지 않으며 ‘그냥 그렇게’ 학창시절을 보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일까. 그때부터 ‘경험’이라는 것에 허기를 느끼기 시작했다. 직접 경험하는 것도,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것, 모두 소중하고 커다란 자산이 될 것이라 믿었다. 닥치는 대로 다 경험하고 싶었다.
그래서 이것저것 찾아 나섰다. 우리가 말하는 ‘힘든 일’이라는 것도 도대체 무엇인지 궁금하기도 했다. 배달도 해봤고 막노동도 뛰었다. 나중엔 뱃일까지 해보게 됐다.
사람들이 제일 힘들다고 말하는 뱃일마저 하고 나니 세상 모든 일들과 비교가 됐다. 그 이후로는 뭘 해도 ‘그래 뱃일보단 낫지’ 하며 열정을 불태울 수 있게 됐다. 거북이처럼 묵묵히 뭐든 열심히 해가면서도 ‘또 어떤 경험을 해볼 수 있을까?’라고 안주하던 찰나에 전남도의 ‘푸른돌 청년상인 육성사업’을 만나게 됐다. 직접 만들어보자는 결심이 섰다. 그래서 창업에 도전했다. 메뉴 개발부터 점포 공사까지 모두 직접 다 했다. 그동안 경험들과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더해지니 못할 수가 없었다.
창업 아이템은 술안주로 빼놓을 수 없는 ‘닭발’이다. 어느 날 닭발을 시켜먹었는데 배가 아팠다. 그 이유가 궁금해 알아보니 매운맛을 내기 위해 조리과정에서 캡사이신을 많이 첨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캡사이신을 쓰지 않고 충분히 맛있게 매운 닭발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연구에 들어갔다. 난 주변의 도움을 받아가며 결국 불 맛과 함께 맛있게, 캡사이신이 없이도 맛있는 매운 닭발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점포 공사를 하면서는 뇌리에 있던 생각들이 눈 앞에서 직접 만들어져 가는 과정에 굉장한 설렘을 느꼈다. 하나를 잘 더하면 열 개를 더한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자기애’도 한껏 들었지만 부담감도 더 해졌다. 하지만, ‘잘못하면 다시 하면 되니까, 좀 더 고생하면 되니까, 그 모든 게 경험이 되니까’는 생각으로 하나씩 쌓아왔다. 내가 직접 만들었으니까.
그러나 아무래도 장사는 결코 쉬운 게 아니다. 막상 시작하니 음식의 맛부터 재료 관리, 유통 기한, 세금, 월세, 재고 관리, 서비스, 홍보 마케팅까지 가게를 운영하면서 고민해야할 부분이 셀 수 없이 많았다. 그래도 난 항상 해오던 대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제는 하루하루 어떻게 하면 더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까 고민을 하며 지내고 있다. 서비스에, 시설에, 맛에 만족하는 손님들이 물어보면 이렇게 자신있게 말하고 싶다. “여기 제가 직접 만든 곳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