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의 ‘새로운 하모니’
2025년 11월 26일(수) 14:10 가가
12월 13일 광주예술의전당 소극장 제146회 정기공연
오준혁 상임지휘자 취임연주회
오준혁 상임지휘자 취임연주회
소년소녀합창단은 지역의 예술 꿈나무를 길러내는 작은 학교이자, 맑은 목소리로 공동체에 온기를 전하는 존재다. 세대를 넘어 이어지는 하모니는 지역의 활기찬 미래를 꿈꾸게 만든다.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이 올겨울 새로운 지휘자와 함께 첫 발을 내딛는다. 시립소년소녀합창단은 오는 12월 13일 오후 7시 광주예술의전당 소극장에서 제146회 정기공연 ‘새로운 여정: 하모니의 시작’을 선보인다. 지난 9월 부임한 오준혁 상임지휘자의 취임연주회이자 합창단의 새로운 도약을 알리는 자리다.
오 지휘자는 이탈리아에서 합창·오케스트라 지휘를 전공하고 필리핀 P.B.T.S대 지휘과 교수로 활동한 뒤, 순천시립소년소녀합창단과 광주북구립예술단 지휘를 맡아 다양한 무대를 이끌어온 음악가다.
이번 공연은 그의 음악 세계가 시립소년소녀합창단의 순수하고 맑은 음색과 어떻게 어우러질지 확인할 수 있는 기회다. 레퍼토리는 성가곡부터 해외 민요, 한국 합창, 대중음악과 국악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구성됐다.
첫 번째 무대는 섬세한 화성이 돋보이는 미셸 루에셰의 ‘룩스 에테르나’, 고요함과 경건함을 전하는 더글러스 E. 와그너의 ‘고요한 상투스’, 헝가리 작곡가 오르반의 역동적인 작품 ‘글로리아’가 연이어 연주된다. 합창단의 투명한 음색과 단원들의 음악적 표현력을 감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어지는 무대는 해외 민요로 꾸려진다. 영국 민요 ‘대니 보이’, 아일랜드 민요를 아름답게 편곡한 ‘샐리 정원 옆에서’, 푸에르토리코 전통 춤곡 ‘플레나’가 무대를 채운다. 피리 연주자 김원근이 특별연주자로 나서 ‘홀로 아리랑’과 ‘베사메무쵸’를 들려주며 한국 전통과 라틴 음악의 감성을 잇는다.
마지막 무대는 관객과 함께 호흡하는 친숙한 곡들로 구성됐다. 정중식의 ‘나는 반딧불’, G.O.D의 ‘촛불 하나’, 전통민요를 재해석한 ‘쾌지나 칭칭나네’, 흥겨운 선율의 ‘난감하네’까지 다양한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음악이 이어진다. 무대 사이에는 ‘7번 국도’, ‘도둑고양이’, ‘걱정말아요 그대’ 등 특별연주도 더해진다.
오준혁 지휘자는 “이번 공연은 저와 합창단이 함께 걸어가는 새로운 여정의 첫 시작이다. 합창은 혼자가 아닌 함께 만들어가는 예술이기에 아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서로를 채우고 성장해나가고 싶다”며 “앞으로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과 다채로운 공연을 함께 만들어갈 테니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이 올겨울 새로운 지휘자와 함께 첫 발을 내딛는다. 시립소년소녀합창단은 오는 12월 13일 오후 7시 광주예술의전당 소극장에서 제146회 정기공연 ‘새로운 여정: 하모니의 시작’을 선보인다. 지난 9월 부임한 오준혁 상임지휘자의 취임연주회이자 합창단의 새로운 도약을 알리는 자리다.
이번 공연은 그의 음악 세계가 시립소년소녀합창단의 순수하고 맑은 음색과 어떻게 어우러질지 확인할 수 있는 기회다. 레퍼토리는 성가곡부터 해외 민요, 한국 합창, 대중음악과 국악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구성됐다.
마지막 무대는 관객과 함께 호흡하는 친숙한 곡들로 구성됐다. 정중식의 ‘나는 반딧불’, G.O.D의 ‘촛불 하나’, 전통민요를 재해석한 ‘쾌지나 칭칭나네’, 흥겨운 선율의 ‘난감하네’까지 다양한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음악이 이어진다. 무대 사이에는 ‘7번 국도’, ‘도둑고양이’, ‘걱정말아요 그대’ 등 특별연주도 더해진다.
오준혁 지휘자는 “이번 공연은 저와 합창단이 함께 걸어가는 새로운 여정의 첫 시작이다. 합창은 혼자가 아닌 함께 만들어가는 예술이기에 아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서로를 채우고 성장해나가고 싶다”며 “앞으로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과 다채로운 공연을 함께 만들어갈 테니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